목동파크자이. /사진=GS건설
분양 흥행 흐름이 가시지 않고 있는 서울에서 연말까지 9500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강북 대단지 재개발 물량이 쏟아지는 데다 정부의 규제 움직임이 있는 강남권(강남·서초·송파)에서도 700가구가 일반분양 될 예정이어서 관심이 집중된다.25일 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1~12월 서울에서는 22곳 9518가구의 아파트가 일반 분양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1년 같은 기간 1만2198가구에 이어 두 번째 많은 물량으로 올해 10월까지 분양한 1만2661가구의 절반 이상(75%)을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동대문구에서 가장 많은 1470가구가 나온다. 이어 중랑구(1040가구), 은평구(887가구), 영등포구(812가구), 관악구(655가구), 서대문구(633가구), 성북구(616가구) 등이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6개월에서 1년 또는 입주까지) 연장과 재당첨 제한 등의 규제가 예상되는 강남권에서도 서초구와 송파구에서 4곳 712가구가 예정돼 있다.
물량이 늘어난 데는 시장 내 소화가 충분하다는 건설사 판단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근 부동산114 입주 물량 자료를 살펴 보면 올해 2만1000가구, 내년 2만6000가구로 2000년대 초반 연 5~6만 가구에 비해 적다.
또한 강남권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자 연내 분양을 목표로 사업 속도를 낸 것도 이유다. 실제로 올해 10월 중순까지 서울에 나온 32개 아파트 중 5개 단지를 제외하고 모두 1순위에서 청약을 끝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서울 집값이 오르고 분양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은 강남 발 재건축 영향도 있지만 2~3년 전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이 줄면서 올해와 내년 입주물량이 적은 것도 이유”라고 분석했다.
유망 단지도 많다. GS건설은 서울 첫 환지 방식의 도시개발사업으로 ‘목동파크자이’를 11월 선보인다. 전용면적 84·92㎡ 356가구 모두가 일반분양 돼 로열동·층 당첨 가능성이 높다.
강남권에서는 삼성물산이 서초구 한신18차 24차를 재건축하는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를 11월 분양한다. 전용면적 49~132㎡ 총 475가구다. 일반분양은 전용면적 59~84㎡ 146가구다. 저층부터 고층까지 고른 일반분양분을 구성한 점이 특징이다.
SK건설은 마포구 공덕동에서 ‘공덕 SK 리더스 뷰’를 다음달 분양할 예정이다. 아현뉴타운 마포로6구역 재개발 아파트로 총 472가구며 이중 255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일반에게 공급되는 주택형은 전용면적 84~115㎡다. 지하철 4개 노선 환승역인 공덕역 역세권이다.
태영건설도 12월 ‘태영 웨스트리버’를 마포구에서 내놓는다. 전용면적 59~157㎡ 276가구로 구성되며 145가구가 일반분양 된다. IFC몰, 한강공원, 여의도공원 등이 있는 여의도까지 차량으로 10분 거리다.
장안동에서도 태영건설이 장안2구역 재건축으로 짓는 전용면적 59~119㎡ 469가구 아파트 중 177가구를 일반분양으로 내놓을 계획이다.
청량리 일대 재개발도 본격화된다. 롯데건설은 12월 청량리4구역 재개발 시공사로 나서며 1372가구 중 1293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이밖에 강북구에서는 진흥기업과 효성이 미아9-1구역 재건축으로 ‘꿈의숲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전용면적 59~115㎡ 1028가구 중 468가구를, 성북구에서는 11월 석관2구역 재개발로 삼성물산이 ‘래미안 아트리치’ 전용면적 59~109㎡ 1091가구 중 616가구를 일반분양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