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눈물. 오늘(3일) 김병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총리직 수락 배경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병준 신임 국무총리 내정자가 "국무총리가 되면 헌법상 보장된 권한을 100% 행사할 것"이라며 "개각을 포함한 모든 것을 국회, 여야 정당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책임을 다하지 못할 경우 결코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오늘(3일) 오후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는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제가 가진 답은 하나다. 대통령을 포함해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며 대통령 임기 중 수사 가능 여부에 대해 "재직 중 형사상 소추를 안받는다는 헌법 규정을 두고 서로 다른 해석들이 있는데 저는 수사와 조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내정자는 "다만 국가원수인 만큼 그 절차나 방법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준 눈물. 오늘(3일) 김병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총리직 수락 배경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 내정자는 총리직 수락 배경에 대해선 "국정이 붕괴되는 상황을 보고 그대로 있기 힘들었다"며 "비유하자면 주인이 바뀌는 기업에서도 회계나 기술 개발은 정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내정자는 특히 "개각을 포함한 모든 것을 국회 및 여야 정당과 협의해 나가겠다"며 "대통령이 국민적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국회와 여야 정당은 국정 동력의 원천이다. 이 원천에서 동력을 공급받지 못하면 국정의 불은 꺼질 수밖에 없다"고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김 내정자는 지명 과정에서 빚어진 사전협의 부재 논란에 대해 "청와대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무너져 생긴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저 역시 유감스럽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는 이어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최선을 다하겠다. 그리고 책임과 역사적 소명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결코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하면서는 잠시 말을 잇지 못한 채 울먹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병준 눈물. 오늘(3일) 김병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총리직 수락 배경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 내정자는 총리 권한에 대한 대통령과의 독대 내용에 대해선 "경제·사회 정책 부분은 제가 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저에게 전부 맡겨줬으면 좋겠다'고 얘기했다"며 "대통령이 정확히 뭐라고 말씀했는지 기억나진 않지만 동의하셨다고 생각한다. 국정, 특히 경제·사회 부분에 대한 통할은 저에게 맡기셨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김 내정자는 개각에 대한 야당의 반발에는 "당연히 화도 나고 저에 대해서 섭섭한 것도 당연히 많이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이해를 표했다.
그는 "기회가 닿는 대로 제가 이 자리에 설 수밖에 없었던 마음, 정말 국정이 단 하루도 멈춰선 안된다는 것,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지금도 너무나 많은 심각한 문제들이 여러 형태로 악화·심화해 어떤 부분은 정권 말기에 회복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마음에서 나섰다는 것을 설명드리고 이해를 구하는 길밖에 없다"며 "그러고도 저를 받아주시지 않으면 당연히 그대로 두말 없이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연설문을 읽는 도중 잠시 감정에 북받쳐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그는 이유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저도 왜 그랬는지 잘 모르겠다"면서 "참여정부에 참여하면서 그 때 다하지 못했던, 좌절하고 넘어지기도 하고 그 이후 노무현 대통령께서 정치로 세상을 바꾸는 시대가 지났다는 말씀에 동의했고 이후 강의하고 글쓰면서도 늘 가슴이 아팠다"고 회고했다.
이어 "왜 우리 세상이 이렇게 변했나. 더 나아질 수 있을까 무력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총리 지명을 수락한 것이 '노무현 정신'에 부합하느냐는 질문엔 "부합한다고 본다. 노무현 정신의 본질은 이쪽 저쪽을 가리는 게 아니라 국가와 국민을 걱정하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어제(2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기자들과 만나서는 웃음을 보이는 등 시종일관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