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도·선호도·가치도를 합한 소비자 아파트브랜드 선호도. /자료=닥터아파트
올해 아파트 브랜드파워 조사 결과 자이·힐스테이트·롯데캐슬이 1~3위를 차지했다.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지난 1~13일까지 만 20세 이상 회원 1409명을 대상으로 아파트브랜드 40개에 대한 2016년 아파트 브랜드파워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2016년 아파트 브랜드파워 조사는 인지도(무제한 응답), 선호도(3곳 복수응답), 브랜드가치(1곳 단수응답) 등 3개 부문 응답율을 합친 종합 순위로 매겨졌다.
그 결과 GS건설의 자이는 총 172.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가 156.0%로 2위, 롯데건설의 롯데캐슬이 132.2%로 3위를 차지했고 삼성물산의 래미안(126.5%)과 대림산업의 e편한세상(110.5%)은 각각 4·5위를 차지했다.
또 대우건설의 푸르지오, 현대산업개발의 아이파크, 포스코건설의 더샵, 이지건설의 이지더원, SK건설의 SK뷰가 10위권에 들었다. 지난해 10위권에 있던 두산 위브와 한화 꿈에그린은 10위권 밖으로 밀렸다.
자이는 브랜드 인지도, 선호도, 가치도 3개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GS건설은 지난해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 수주액이 8조180억원에 달해 1위를 차지했다. 올 들어 1월 신반포자이 분양을 시작으로 9월 부산 명륜자이가 평균 청약경쟁률 523대 1로 올해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서울 다음으로 분양시장이 뜨거운 부산에서는 자이 브랜드가 청약경쟁률 1~3위를 휩쓰는 등 소비자들에게 완판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심어준 것으로 분석된다.
2위는 현대건설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강남권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삼호가든맨션3차 수주에 이어 올해 8월 개포주공3단지를 재건축하는 디에이치아너힐즈를 성공적으로 분양했다. 현대건설은 힐스테이트와 더불어 디에이치의 신규 론칭으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3위 롯데건설은 2014년과 2015년 연속 정비사업 수주 1조원 클럽에 가입했다. 또 올 들어 흑석뉴타운 롯데캐슬 에듀포레, 용산 롯데캐슬 센터포레 등 정비사업 분양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 해 11월 분양한 성복역 롯데캐슬 골드타운 사례와 같이 역세권을 낀 탁월한 입지 선택으로 주목을 받았다.
4위로 밀려난 삼성물산의 경우 올해 3월말 개포 래미안 블레스티지 외에 분양실적이 부진한데다 정비사업도 올 상반기에 한 곳도 수주하지 않았다.
한편 응답자들은 아파트브랜드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이유로 지역 랜드마크이기 때문(27.4%)과 주변 입소문(23.7%)을 많이 꼽았다. 본인 거주 경험(22.7%)과 건설사 규모(21.8%)는 뒤를 이었다. 또 동일한 입지에서 아파트 구입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브랜드가 36.0%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단지규모(21.3%), 가격(17.5%), 단지 내 부대시설(10.2%)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