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지난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0대 국회에서 개헌을 이루지 못하면 앞으로 개헌할 수 있는 기회가 영원히 오지도 않을 수도 있고, 만약 개헌을 한다 하더라도 국민의 물리적 힘에 의해서나 이뤄지지 않겠는가"라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는 오늘(20일) 새누리당 개헌 추진 모임 '국가 변혁을 위한 개헌추진회의' 초청 간담회에서 "이번 촛불 집회에 나타난 국민들의 정치의식을 헌법에 어떻게 반영할지, 지금 헌법 속에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가 하면 전혀 그렇지 못하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권력욕에 사로잡혀 '권력을 적당히 이용해 먹을까' 하는 식으로 개헌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개헌 문제라는 것을 단순하게 '정치인들이 권력이나 나눠 먹으려고 개헌하려고 한다'며 피상적으로 배척하는 자세도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는 국회 개헌특위가 신설되면 특위를 통해 개헌 논의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며 "20대 국회 때 (개헌을) 해야 한다"며 "일단 지금 개헌 논의를 시작하면 대통령 선거 전에 할 수도 있고, 만약 시간이 촉박하면 대통령 선거 후로 미룰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대 국회가 3년 정도 남지 않았는가. 그 기간이 굉장히 긴 것 같아도 길지 않다"며 "지금 개헌 논의를 시작하지 않고 방치하면서 '다음 대통령이 결정되면 하자'고 하면 개헌을 못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단순히 권력욕에 사로잡혀 '권력을 적당히 이용해 먹을까' 하는 식으로 개헌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개헌 문제라는 것을 단순하게 '정치인들이 권력이나 나눠 먹으려고 개헌하려고 한다'며 피상적으로 배척하는 자세도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는 국회 개헌특위가 신설되면 특위를 통해 개헌 논의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며 "20대 국회 때 (개헌을) 해야 한다"며 "일단 지금 개헌 논의를 시작하면 대통령 선거 전에 할 수도 있고, 만약 시간이 촉박하면 대통령 선거 후로 미룰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대 국회가 3년 정도 남지 않았는가. 그 기간이 굉장히 긴 것 같아도 길지 않다"며 "지금 개헌 논의를 시작하지 않고 방치하면서 '다음 대통령이 결정되면 하자'고 하면 개헌을 못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