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면적 84·96㎡ 중형과 중대형으로 구성된 동탄2신도시 A99·A100블록에 짓는 ‘동탄2 아이파크’. /사진=현대산업개발
주택시장에서 수급불균형에 따른 희소성 증가로 중대형 아파트가 ‘귀한 몸’ 대접을 받고 있다.3일 부동산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와 부동산114 아파트 공급현황을 토대로 최근 10년(2007~2016년)간 연도별·면적대별 아파트 공급 및 거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전용면적 85㎡초과 중대형 아파트 수요는 꾸준한 반면 공급량은 급감했다.
우선 공급량을 살펴보면 지난해 전체 신규공급 아파트 중에서 전용면적 85㎡초과 중대형 아파트 차지 비율은 8.30%로 최근 1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85㎡ 초과 아파트는 10년 전인 지난 2007년 24.82%에서 이후 공급량이 늘며 2010년 34.26%로 최고점을 기록 후 매년 감소세다. 고점이었던 2010년과 비교하면 지난해 공급량은 4분의 1 수준이다.
특히 2015년까지는 전체 대비 12.29%로 두 자릿수를 유지했으나 1년 사이에만 4%P가량 줄며 10년 만에 한 자릿수까지 감소했다.
반면 공급이 줄어드는 동안에도 수요는 꾸준하게 유지됐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11월까지 전국 85㎡ 초과 아파트 거래량은 14만581가구로 전체 거래량의 13.57%를 차지해 전년 동기(15만6745건, 13.85%)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10년 전인 2007년 15.05%과 비교해도 큰 차이는 없다.
앞으로 중대형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란 분석도 많다. 최근 경기 침체와 주거비 부담을 이유로 독립 및 결혼 이후에 다시 부모세대와 함께 거주하는 이른바 리터루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중소형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중대형과의 가격 격차가 크게 줄고 있는 점 역시 중대형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또 과거에는 경기가 악화되면 중대형 아파트 수요가 급감하며 중소형에 비해 집값 하락의 폭이 컸지만 최근 늘어난 중대형 수요는 오히려 경기 악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향후 여건 변화에 따른 영향도 적어 중대형 아파트 인기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