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 사진은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경전철 탑석역. /사진=뉴스1
의정부경전철의 파산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의정부경전철은 지난 2012년 개통 이후 누적 적자 2000억원을 넘어서는 등 만성적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기 의정부시 등은 어제(3일) 의정부경전철에 총 3250억원을 대출해준 KB국민은행 등 금융사 5개로 구성된 대주단이 실시협약 중도해지권을 조만간 행사할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
대주단은 지난 2014년 말 의정부시와 사업 재구조화를 통한 운영 정상화를 조건으로 의정부경전철에게 실시협약 중도해지권 행사를 지난해 말까지 1년간 미뤄줬다.
이에 따라 대주단의 중도해지권 행사가 사실상 임박한 상태다. 중도해지권은 사업자가 해당 사업을 중도에 포기하도록 투자기관이 행사하는 권리를 일컫는다.
의정부시가 의정부경전철 사업 재구조화 방안을 거부한데다, 의정부경전철은 개통 5년이 지나도록 하루 평균 수요가 3만5000여명으로 협약수요 11만8000여 명의 30% 수준을 밑도는 실정이다.
대주단이 실시협약 중도해지권에 명시된 '파산'을 선택하면 의정부경전철은 이달 중 법원에 파산신청을 하게 되고, 파산선고는 늦어도 3개월 안에 결정된다.
파산관재인이 의정부시에 실시협약 해지통보를 하면 오는 6월까지 파산절차가 마무리된다. 의정부시는 이후 경전철을 직접 관리하거나 대체 사업자를 선정해야 한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의정부경전철이 파산하더라도 협약에 따라 의정부시가 새 사업자를 선정할 때까지는 경전철이 계속 운행돼야 한다"며 "위탁 방식 등으로 관리할지, 새로운 경전철 사업자를 선정할지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