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직권상정. 사진은 정세균 국회의장. /사진=임한별 기자

야당이 오늘(22일) 정세균 국회의장이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 기간 연장을 위한 특검법 개정안을 직권상정하는 데 대해 '여야 합의가 없으면 할 수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 정세균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촉구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정 의장이 직권상정을 하지 않는다고 하면 어쩔 수 없다"며 "정 의장을 어제 우연한 모임에서 만났고, 간곡히 설명을 드렸다. 그러나 여야 4당이 합의를 해 오거나 그렇지 않고서는 직권상정에 난색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것은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사태다. 지금 현재 대통령이 유고인 상태인데, 이러한 것을 가지고 국회의원 3분의2가 요구를 하는데 자유한국당의 반대, 여당의 반대 하나를 가지고 이러한 법을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이 자체가 비상시국 아닌가 이런 말씀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 의장이 움직이지 않으면 그 다음 카드는 없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 정 의장이 직권상정을 하지 않으면 거기에 대한 (카드는 없다)"며 "정 의장의 부담도, 국민들로부터 어떠한 평가를 받는가를 잘 생각해 주실 것으로 나는 믿는다"고 전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SBS 라디오 '박진호의 시사 전망대' 인터뷰에서 '정 의장 직권상정도 물리적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특검 수사 기간 연장이 어렵다, 이런 전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특검 수사를 어떤 식으로든 간에 반드시 성공해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이번 특검이 좌초되면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국민의 열망도 함께 좌초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 특검 문제를 사명감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다. 국회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야 된다고 본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당연히 이를 승인을 해야 되는 것이고, 그것이 안 되면 (정 의장이) 직권상정을 해서 처리해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앞서 정 의장은 어제(21일) 국회에서 상임위원장단 간담회를 이후 기자들과 만나 "교섭단체들이 합의하면 언제든지 할 수 있는데, 합의가 되지 않으면 할 수 없지 않는가. 나는 절차에 따라 의사 진행을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