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대변인은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가 공식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관광 및 유통 산업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한중 양국이 1992년 수교 이후 다져온 선린 우호 관계를 흔드는 중국의 보복 조치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일련의 보복 조치들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군사 문제에 경제 문제를 끌어들이는 것은 옳지 않다는 점을 중국 정부에 분명히 지적한다. 아울러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대한 정부의 대책을 성토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중국 대사관에 항의만 하고 대책은 사실상 손을 놓은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고 대변인은 "중국의 보복 조치는 없을 것이라던 정부가 막상 중국의 보복 조치가 시작되니 마땅한 대책을 만들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것인지 참으로 개탄스럽다"며 "정부는 사드의 정당성을 중국에 거듭 강조했지만 이런 발언으로 중국의 태도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드가 진정 국가 안보를 위한 것이라서 국민은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면 중국의 보복 조치를 막을 실질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를 성토하며, 중국의 보복 조치로 경제와 민생에 끼칠 피해를 막는 것이 정부의 할 일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