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치매설. 사진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임한별 기자
양 수석부대변인은 "문 전 대표가 엉뚱한 실수를 계속 범하고 자주 말이 오락가락한다고 해서 치매로 단정하고 비판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치매는 본인은 물론 그 가족과 주변의 삶까지 함께 앗아가는 참으로 아픈 질병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렇다고 해서 자신을 비판한 네티즌들을 색출해 고소·고발하겠다며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옳지 않다. 아무리 지나친 면이 있다고 해도 웃자고 한 말에 죽자고 덤비는 것은 너무 지나친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양 수석부대변인은 "특히 더문캠 관계자가 '한 놈만 팬다, 걸리면 죽는다'며 '문재인 치매설'에 대한 강력 대응을 주도했다고 하니 그 저의마저 의심스럽다. 더구나 마치 국민의당이 '문재인 치매설'을 유포한 주범인 것처럼 언론 플레이를 하는 것은 정치 도의에도 어긋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혹시 고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계산된 것이라고 막말을 한 손혜원 민주당 의원 파문 등 영입 인사들의 잇따른 설화를 잠재우기 위해 사안을 침소봉대해 국민의당에 화살을 돌리려는 것이라면 정말 나쁜 정치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문 전 대표에게 필요한 것은 '문재인 치매설'에 대한 법적 대응과 네티즌 재갈 물리기가 아니라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문 전 대표 측 박광온 수석대변인은 어제(13일)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치매설'과 관련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다. 법률자문단에서 법률 검토를 마친 결과"라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조작된 '문재인 치매설'의 최초 생산자는 물론이고 유포자는 캠프 차원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선거 풍토, 정치 발전을 위해서라도 끝까지 추적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