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사진=뉴시스DB
대우조선해양 살리기에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이 팔을 걷었다.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대우조선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 확약서를 만들고 사채권자들을 설득하는 데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27일 KDB산업은행은 시중은행들과 모여 대우조선해양 지원 확약서를 만든다.

이날 산은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대우조선에 여신을 공급한 시중은행들과 실무자회의를 갖는다. 회의는 시중은행에 묶여있는 대우조선의 담보부채권을 출자전환키로 한  입장을 최종 확인하는 게 목적이다.


또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이 대우조선이 신규 수주에 나설 때 선수금환급보증(RG)을 어떤 식으로 발급할 것인지에 대해 협의한다. 회의 참석 금융기관들은 빠르면 이달 내에 합의 내용을 문서화할 방침이다. 

지난 23일 시중은행들은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방안'에 따라 무담보채권 7000억원 가운데 80%(5600억원)는 출자전환하고 20%(1400억원)는 만기를 5년 연장해주기로 했다.

국책은행과 같이 신규지원을 할 필요가 없는 데다 향후 채무조정 합의가 깨져 대우조선 구조조정이 P플랜(사전회생계획제도·Pre-Packaged Plan)에 돌입하면 충당금 부담이 더 생기기 때문이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에 대체로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산은과 구두 합의해 내용을 문서화하고 사채권자를 설득할 방침이다.

대우조선은 다음달 17일과 18일 이틀 동안 5회에 걸쳐 사채권자집회를 진행한다. 집회에선 대우조선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약 1조5000억원에 대해 50% 출자전환(7500억원)과 50% 만기연장 등의 내용을 담은 채무조정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채권은행들이 채무조정에 합의하더라도 사채권자집회에서 안건이 부결되면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2조9000억원의 신규자금을 넣는 조건부 구조조정안은 무산되고 P플랜이 가동된다. 결국 산은과 시중은행이 사채권자들을 설득하는 것이 관건인 셈이다.

은행 관계자는 "대우조선 채무조정에 대한 내용들은 최종 확인하고 빠른 시일 내에 문서로 남길 예정"이라며 "채권은행이 사채권자들을 직접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기존 합의안을 문서화함으로써 대우조선에 대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메시지는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