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오늘(21일) 서울 용산구 한국여성단체협의회에서 열린 '모두를 위한 미래, 성평등이 답이다'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문 후보는 이날 여성단체 회원들로부터 △남녀 임금격차 해소 △남녀 동수 내각 구성 △여성 폭력 근절 대책 △일인 가구 대안 △여성가족부 위상 제고 등에 대한 의견을 물어봤다.
그는 남녀 임금격차에 대해 '블라인드채용제'와 '공정임금제'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는 답을 내놨다. 그는 "이력서에 성별, 학력, 학벌, 출신지, 집안 배경 등 불공정 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모두 삭제해야 한다"며 "오로지 능력으로만 채용되는 그런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금 공시제를 도입하는 등 공정임금제를 시행할 경우 많은 차별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남녀 임금격차는 정규직-비정규직, 대졸-고졸, 대기업-중소기업 등 다양한 격차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해결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남녀 동수 내각을 약속했다. 그는 "칠레, 페루와 같이 우리보다 민주주의 수준이나 경제력 수준이 못한 나라에서도 이미 남녀 동수 내각을 이뤘다. 국방부 장관을 여성이 하는 나라도 있다"면서 "단숨에는 어렵겠지만 적어도 30%선에서 출발해 임기 내에는 남녀 동수 내각을 실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성 국회의원 비율 30% 법제화도 공언했다. 그는 "선출직 여성 국회의원은 최소 30% 이상이 적절하지 않겠는가"라며 "이미 민주당 여성 공천 30% 이상이 당헌당규로 정해져 있다. 이런 부분들을 실제로 실현되도록 법제화 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젠더폭력방지기본법' 제정도 약속했다. 그는 "데이트폭력, 가정폭력 등은 남녀 사이의 문제로 보고 가급적 국가는 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고,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처벌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피해자들이 관계 지속을 위해, 가정의 파탄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처벌을 원하지 않아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젠더폭력에 국가가 강력히 개입해 피해자 의사와 무관하게 가해자는 처벌하고, 피해자는 보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여성가족부 위상 제고도 공언했다. 그는 "여가부 권한과 위상을 높여 성평등 정책이 원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여가부 권한 제고는 물론 성평등 정책 전반을 다루는 대통령 직속 성평등위원회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