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진핑. 문재인 시진핑 전화 통화.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본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했다. /사진=뉴스1(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 통화에서 "THAAD(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와 관련해 중국에 진출한 우리 교민과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제약과 제재가 원만하게 해결되도록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영찬 청와대 홍보수석은 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 본관에서 시 주석과 첫 번째 전화 통화를 하며 이 같이 말했다고 전달했다. 통화는 시 주석의 발신으로 40여분간 이뤄졌다. 중국 주석이 한국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기 위해 먼저 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기본 입장을 설명했다. 중국은 그동안 사드 배치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중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관심과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양국 간 소통이 조속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대답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적인 도발이 없어야 사드 문제의 해결이 용이하다. 조속한 시일 내에 사드와 북핵 문제의 별도 해결을 위해 특사를 파견하겠다"며 "북핵 문제 해결은 포괄적이고 단계적인 방식으로 가야 한다. 북한에 제재는 북한을 핵폐기를 위한 협상으로 이끌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에 공감을 표시하며 "직접 만날 수 있길 기원한다"고 문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요청했다.
시 주석은 지난 9일 중국 산동성에서 발생한 한국인 유치원생 사망 사고에 대해 "가슴 아프고 안타깝게 생각한다. 지방정부에 사고의 원만한 해결을 지시했다"며 "한국 유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해 주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이 사건이 끝까지 원만하게 매듭될 수 있도록 중국의 협조를 바란다"고 부탁했다.
윤 수석은 "이번 통화에서 두 정상은 서로에 대한 인간적 관심을 표현하며 한중 관계 전반의 발전 방향과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