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중심 경제. 사진은 송인창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맨 오른쪽). /자료사진=뉴시스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사람 중심 경제'로의 정책 패러다임 전환으로 사회 불평등 문제에 대처할 것을 제안했다.
기획재정부는 7∼8일(현지시간) 프랑스 OECD 본부에서 개최된 2017년 OECD 각료이사회에 참석해 이 같이 제안하고 이를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취약 계층에 대한 배려에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번 각료이사회에는 송인창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송 차관보는 '자유무역 및 디지털경제 환경 하에서 모든 사람의 번영을 위한 국내정책 방안'을 논의하는 세션에서 포용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모든 국민이 성장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직업 역량 교육 강화 등 세계화, 디지털화에 따라 구조적으로 소외될 가능성이 높은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차관보는 세계화 자체에 대한 반대보다는 그 혜택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신고립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하기 위해 국제사회 공조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각료이사회에서 제시한 포용적 성장, 성공적인 세계화를 위한 대내외 정책 방향이 우리가 추진 중인 사람 중심의 경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소득분배 개선 등의 정책 방향과 일맥상통함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