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단지 내 상가. /사진=김창성 기자
수익형부동산 투자 열기 속에서 단지 내 상가 인기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9일 업계와 상가정보연구소 등에 따르면 전날 실시된 김해시 ‘율하 자이 힐스테이트’ 단지 내 상가 11호실 분양에 200여명이 입찰 신청서를 제출했다.

입찰 결과 역시 전 호실이 팔렸고 최고 낙찰가율은 210%를 기록했다.


경남 창원에서는 6100가구의 대단지 창원 중동 유니시티의 단지내 상가 ‘유니스퀘어’도 성황리에 공급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8일 실시된 1·2단지 입찰은 최고 낙찰가율 202%, 최고 경쟁률 67대 1, 평균 30대 1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유니스퀘어’는 여세를 몰아 3·4단지 입찰을 이어간다. 이달 9일까지 입찰신청서 접수를 받고 이례적으로 토요일인 10일 입찰에 부치고 12~13일 계약을 진행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단지 내 상가 투자 열기도 감지된다. 지난 4월17일 진행된 수도권 지역 LH 단지 내 상가 22곳 입찰에서 낙찰가율이 200% 이상인 곳이 10곳으로 집계됐다. 최고 낙찰가율은 무려 277.48%, 평균은 184.75%를 기록했다. 낙찰가 총액만 약 122억 6700만원에 달했다.


이어 지난달 22~24일 실시된 단지 내 상가 입찰에서는 올 들어 최대 물량인 86호가 입찰을 실시했으며 이중 85호가 주인을 찾았다. 공급지역은 화성동탄, 오산세교, 수원호매실, 원주태장, 대구신서 등 전국적으로 다양했다.

낙찰가 총액은 291억8936만3100원, 평균 낙찰가율은 163.85%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이 200%를 넘은 상가는 22호였고 화성동탄 A69블록에서는 낙찰가율이 280.14%에 달하는 상가도 나왔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단지 내 상가는 탄탄한 고정 배후수요를 바탕으로 공실 위험이 적어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꼽힌다”며 “다만 일부 지역·상가에서 과열 경쟁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임대료를 감안해 낙찰가 수위를 조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