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훈 경호실장. 지난 3월24일 밤 경찰이 청와대 앞길에 차량 출입을 막는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청와대가 오는 26일부터 청와대 앞길을 24시간 민간에 개방한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청와대 경호실은 열린 청와대 구현과 시민 편의를 위해 오는 26일부터 청와대 앞길을 24시간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며 "청와대 주변의 5개 검문소에서 평시 검문은 실시하지 않고 바리케이드가 사라지며 서행을 유도하는 교통 안내 초소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춘추관과 분수대 광장을 동서로 잇는 청와대 앞길을 24시간 전면 개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야간에 경복궁 둘레길 통행이 자유로워져 서울의 대표적 산책길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청와대 주변 관광객 편의를 고려해 경비 초소나 보안이 필요한 시설을 제외한 청와대 주변 어느 지점에서나 청와대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조치는 1968년 1·21 사태 직후부터 가로막힌 청와대 앞길이 50년 만에 완전 개방되는 것"이라며 "그동안 청와대가 권위주의적 공간이란 편견을 깨고 광화문 시대에 한걸음 다가가는 계기가 됐다. 친절·열린·낮은 경호를 지향하는 경호실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부연했다.


청와대는 그동안 경호상의 이유로 청와대 앞길을 오전 5시30분에 개방하고 오후 6~8시에 폐쇄하는 등 일반 시민과 차량의 통행을 제한해왔다. 하지만 이번 개방 조치로 경복궁 주변 야간 산책을 하는 일반 시민들도 청와대 앞길을 걸을 수 있게 됐다. 삼청동-효자동 구간의 차량 통행도 가능해진다.

또한 일부 보안이 필요한 시설을 제외하고 청와대 주변 어느 지역에서도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현재는 청와대 정문 앞에서만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청와대 앞 검문방식도 변화한다. 그동안 검문소를 통과하는 모든 차량을 정지시킨 뒤 일제 검문을 실시하던 방식에서 차량의 서행을 유도해 안전을 챙기는 방식으로 달라진다. 청와대는 바리케이드를 제거하고 교통 안내 초소를 설치한다.


주영훈 대통령 경호실장은 "청와대에서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경호실장으로서 1968년 이후 50년 동안 많은 시민께 불편을 끼친 데 대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동시에 지금까지 참고 기다려준 시민께 고맙다는 말씀도 함께 드린다"고 설명했다.

주 실장은 "저희의 경호 역량이 보다 뛰어났더다면 더 빠른 시일에 개방할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변화에 따른 경호상의 불안 요소는 저희가 능히 헤쳐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판단해 개방을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야간에 통행하는 시민의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또 대통령 내외의 경호에 어떻게 만전을 기할 것인가에 대해 깊이 고민한 끝에 자신있게 개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앞으로는 청와대 방향을 향해 걷는 시민들에게 과거처럼 '어디 가십니까?'라고 묻는 대신 '안녕하십니까'라고 인사를 건네는 경호원을 만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호실은 바리케이드를 없애는 대신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교통 표지판과 단속 카메라를 설치할 예정이다. 다만 테러 첩보가 있거나 구체적 공격 징후가 발생하면 이동식 바리케이드를 설치해 경비 상황에 따른 단계별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청와대 앞길이 24시간 개방되는 것은 북한이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을 목표로 파견한 남파 공작원 김신조 사태 이후 50년 만이다. 이후 청와대는 군사 및 경호상의 이유로 일반인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다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 2월 통행을 일부 허용했지만 야간에는 통제해왔다.

청와대는 이번 개방을 기념하기 위해 오는 26일 오후 8시 '청와대 앞길 50년만의 탐방'이라는 주제로 일반 시민과 함께하는 산책 행사를 개최한다. 김정숙 여사, 유홍준 광화문대통령 총괄위원장 등이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