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329만원, 중위소득은 241만원으로 나타났다. 남녀의 평균소득 차이는 154만원, 대기업과 소기업의 차이는 194만원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일자리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에 이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소득 분석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소득을 기초로 했다.

말단사원부터 임원급까지 모든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평균값이 평균소득(329만원), 전체 근로자 가운데 중간 정도에 위치한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이 중위소득(241만원)이다.

중위소득의 50~150% 미만인 임금근로자는 전체의 56.4%를 점유한다. 150% 이상인 근로자는 30.2%, 50% 미만(상대적 빈곤율)은 13.4% 수준이다.


이 수치로만 보면 우리 사회의 빈부 격차가 그렇게 심각하지는 않아 보이지만 사회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취약근로계층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실제 저임금 근로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25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많았고 85~150만원 미만 19.4%, 250~350만원 미만 16.6%, 350~450만원 미만 11.8%, 450~550만원 미만 6.6%, 550~650만원 미만 4.6%, 650만원 이상 8.6% 순이었다.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이다. 여자는 각각 236만원, 179만원이다. 소득구간 분포를 보면 350만원 이상을 받는 남자는 전체의 41.4%를 차지하지만 여자는 16.8%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으로 평균소득이 높았다. 20년 이상 근속한 경우 평균소득은 678만원, 1년 미만 근속한 경우는 213만원이다.


종사자 규모별 평균소득으르 보면 50인 미만 기업체 근로자는 238만원으로 조사됐다. 50~300인 미만은 312만원, 300인 이상은 432만원이다. 대기업 근로자가 소기업 근로자보다 약 1.8배를 더 받는 셈이다.

산업별로 보면 금융 및 보험업의 평균소득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 546만원,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이 427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박 및 음식점업이 173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199만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28만원,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238만원 순으로 낮게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