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당장 이번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 채용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요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이른바 '스펙 없는 이력서'를 통한 블라인드 채용 법제화를 공약한 바 있다. 우선 공공부문에서 법으로 강제한 뒤 민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더불어민주당이 6월 임시국회에서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법률개정안 통과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공약 이행 의지를 밝힌 것이라는 해석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지금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에) 나가 있는데, 통과될 경우 하반기에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추가 채용이 있을 수 있다. 그것이 아니라도 다음해에는 채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채용하는 분야가 특별히 일정 이상 학력이나 스펙, 신체 조건을 요구하는 경우 외에는 이력서에 학벌이나 학력, 출신지나 신체 조건, 말하자면 차별적 요인은 일체 기재하지 않도록 하자"며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이번 하반기부터 당장 시행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무원과 공공부문은 우리 정부 결정만으로 가능하지 않겠는가. 그렇게 추진해달라"며 "민간 쪽은 법제화 전까지는 강제할 수 없는데, 민간 대기업도 과거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한 사례에 의하면 훨씬 실력 있고 열정 있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 증명이 많이 됐다. 민간 대기업에도 권유하고 싶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