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갑 경고그림. /사진=뉴시스
혐오스러운 담뱃갑 경고그림이 첫 흡연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예방 효과가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29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가 지난 2월(1차)과 5월(2차)에 성인·청소년 2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의 건강 위험성을 알리는 효과는 5점 만점에 3.94점이었다. 종전의 경고문구(2.41점)로만 구성된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위험 고지 효과(3.94)나 금연 효과(3.74)에 비해 흡연 시작 자체를 예방하는 효과(4.0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이 혐오스러워 첫 흡연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예방 효과에 탁월하다는 것이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성인 흡연자의 절반(49.9%)이 담뱃갑 경고그림을 보고 '금연 결심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비흡연자들은 성인의 81.6%, 청소년의 77.5%가 경고그림을 보고 '앞으로도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응답했다.
10종 그림별로는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고통(환부)을 나타낸 주제(병변)가 아동·임신부 등 대상별로 흡연의 폐해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주제(비병변)보다 경고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혐오도가 강할수록 각인 효과로 인해 경고 효과도 더 크게 나타난 것이라는 분석이다.
선필호 국가금연지원센터 금연기획팀장은 "담뱃갑 경고그림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정책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에서도 이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경고그림의 효과 제고를 위해 2년 교체 주기에 맞춰 이번 조사의 정책 제안이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