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휴넷
평생교육 전문기업 휴넷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직장인 691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심도’라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전체의 74.8%가 ‘4차 산업혁명이 내 직업에 영향을 줄 것’이라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14.2%였으며, ‘아니다’는 11.0%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4차 산업혁명이 직업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7점으로 집계됐다. ‘약간 알고 있다’가 44.8%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이다’ 26.1%, ‘잘 알고 있다’ 17.1%, ‘잘 모른다’ 10.0%, ‘전혀 모른다’ 1.9% 순이었다.
특이한 점은 사원급 3점, 대리급 3.1점, 과∙차장급 3.5점, 부장급 3.7점, 임원급은 3.8점으로 나타나, 직급이 높을수록 스스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가 높다고 응답했다.
4차 산업혁명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전체의 93.9%가 ‘영향을 줄 것’이라 내다봤다. ‘보통이다’ 5.8%,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는 0.3%에 불과했다.
‘4차 산업혁명에 얼마나 대비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3.0점으로 ‘보통’ 수준에 그쳤다. ‘대비하고 있다’는 32.6%였으며 ‘대비하지 않는다’는 31.9%였다. 직급별로는 사원급 2.6점, 대리∙과∙차장급 2.8점, 부장급 2.9점, 임원급 3.2점으로 앞서 4차 산업혁명 이해 정도와 같이 직급이 높을수록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영향을 받을 산업군으로는 ‘IT정보통신∙전자’가 42.6%로 1위에 꼽혔다. 이어 ‘금융∙은행’ 14.5%, ‘유통∙물류∙운송’ 11.6%, ‘제조∙화학∙건설’ 11.3%, ‘자동차∙조선∙중공업’ 5.8%, ‘교육∙서비스’ 5.5% 순이었다.
한편, 현재 근무 중인 회사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준비하고 있는 것이 있는지 묻자, 70.3%는 ‘준비하는 것이 없다’고 답했다. 기업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해야 할 것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제고’가 45.8%로 가장 많았으며, ‘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21.6%, ‘신기술 투자 및 확대’ 14.2%, ‘전문인력 확보’ 11.9%, ‘로봇∙IT 등 연구 및 전담조직 신설’ 5.8% 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