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수능. /자료사진=뉴시스

영어영역이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원서 접수가 다음달 24일 시작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1월16일 실시되는 '2018학년도 수능 시행세부계획'을 9일 발표했다.
응시원서 접수기한은 9월8일로 성적은 12월6일까지 배부된다. 졸업예정자는 재학중인 고등학교, 졸업자는 출신 고교, 검정고시 합격자는 시·도교육감 지정 시험지구에서 각각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수험생은 응시원서와 여권용 규격 사진 2장, 응시료, 신분증 등을 챙겨야 한다.

올해 수능에선 영어 영역평가가 절대평가로 바뀐다. 표준점수·백분위 없이 일정 점수이상 받으면 등급이 매겨지는 방식이다. 원점수(100점 만점) 기준 90점 이상이면 1등급, 80~89점 2등급, 70~79점 3등급 등 9개 등급(10점 간격)으로 나뉘고 성적도 등급만 수험생에게 제공된다.


영어영역은 영어Ⅰ, 영어Ⅱ 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해 45문항이 출제된다.

수능 전 영역·과목에 걸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춘 문제가 나오며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 연계율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 70%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중요 개념·원리 활용, 지문·그림·도표 등 자료 활용, 핵심 제재·논지 활용, 문항 변형 및 재구성 등으로 연계된다.

지난해부터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는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변별보다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고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해 수험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게 평가원의 목표다. 한국사 미응시자는 수능 응시 자체가 무효처리되고 성적 전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전문계열 전문교과 86단위 이상 이수해야 하는 직업탐구를 제외하면 탐구 영역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사회탐구 영역은 9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학탐구는 8개 과목 중 최대 2개, 직업탐구는 10개 과목 중 최대 2개씩 선택 가능하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가운데 1개 과목 시험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