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비중이 높은 ‘성복자이·성복힐스테이트’ 항공 조감도. /사진=GS·현대건설

최근 중대형 아파트가 다시 주목 받고 있다. 과거 인기를 끌던 중대형 아파트는 가격 부담, 핵가족화 등으로 인기가 감소했지만 최근 전체 분양시장에서 중대형 아파트 공급이 줄면서 희소성은 높아졌다. 실제로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 물량은 점차 감소세다.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당시 45.07%(전체 22만4101가구 중 중대형 10만1006가구)에 달하던 전체 아파트 공급 물량(임대 제외) 중 중대형은 2013년 21.28%(16만3116가구 중 3만4705가구), 2106년 10.79%(22만3356가구 중 2만4107가구) 등 지속 감소해 최근 8.68%(13만7972가구 중 1만1980가구)까지 하락했다.

이 같은 흐름에 중대형 아파트 희소성이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희소성이 증가하자 청약 시장에서도 중대형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올랐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중대형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12.89대 1로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청약경쟁률(10.24대 1)을 상회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중대형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27.42대 1로 같은 기간 중소형 평균경쟁률(14.61대 1)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중대형 아파트는 경기 침체, 핵가족화 등 외부 요인으로 인기가 떨어지며 청약 시장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던 시기가 있었다”며 “하지만 최근 공급 물량 부족으로 희소성이 강조되며 다시 중대형 아파트 인기가 치솟는 분위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