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월급 잔고. /그래픽=사람인 제공

직장인들이 월급을 받은 뒤 17일이 지나면 통장 잔고가 0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직장인 603명을 대상으로 '월급고개'를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월급을 받은 뒤 모두 쓰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7일인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20일(23.7%), 15일(17.7%), 10일(12.4%), 25일(10.9%), 7일(6.3%), 30일(4.8%), 5일(3%), 14일(2.5%), 3일(2.2%), 21일(2%) 등의 순이었다.

급여일 전에 월급을 다 써버린 이유로는 '월급이 적어서'(58.7%,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식비 등 생활비가 많이 들어서'(36.3%), '대출 등 빚이 많아서'(32.2%), '경조사 등 예상치 못한 지출이 생겨서'30.2%), '계획 없이 지출해서'(24.9%), '주거비 지출이 많아서'(20.1%), '가족을 부양해야 해서'(18.6%)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이들이 월급을 다 써버린 뒤 다음 급여일까지 지출하는 금액은 평균 37만원이었다.

구체적으로는 '10~20만원 미만'(22.9%), '20~30만원 미만'(19.9%), '10만원 미만'(14.4%), '40~50만원 미만'(11.3%), '30~40만원 미만'(10.9%), '50~60만원 미만'(6.3%), '90~100만원 미만'(5.3%) 등의 순이었다.


월급고개 기간 동안 생기는 지출을 충당하는 방법으로는 '신용카드 사용'(6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비상금 사용'(27.7%), '부모님께 빌림'(10.3%), '기타(대출 등)'(8.8%), '친구, 동료에게 빌림'(7.1%), '현금서비스 이용'(6.8%), '투잡 또는 알바'(6.3%), '주위에 빌붙음'(5.1%)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