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발생한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75%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안전과는 7월말 기준 올해 자전거 교통 사망자 수가 모두 17명으로,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는 13명(76%)이었다고 8일 발표했다.

경찰에 따르면 전체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고령자 사망은 줄지 않고 있다. 고령자 사망은 2014년 16명(전체 37명), 2015년 15명(전체 27명), 2016년 15명(전체 24명) 등으로 전체 사망자 가운데 비율이 오히려 늘고 있다.


사고 원인으로 교통 법규 위반이 많았다. 경찰은 자전거가 도로교통법상 '자동차'로 구분됨에도, 보행자와 마찬가지로 인도를 주행하거나 횡단보도를 가로질러 가다가 자동차와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고 설명했다. 또 사고로 바로 연결되는 역주행, 중앙선 침범 등 심각한 법규 위반 사례도 확인됐다.

실제 올해 1월에는 서울 송파구 마천로 앞 노상에서 자전거를 탄 70대 남성이 직진 중인 차량 사이를 지나 반대편으로 건너기 위해 중앙선을 침범하다 맞은 편에서 오던 차량에 충돌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7월에는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앞 거리에서 자전거를 타고 교차로를 횡단하려던 70대 여성이 신호에 따라 우회전 한 차량에 부딪혀 숨지기도 했다.

경찰은 이처럼 자전거 이용자들이 보행자처럼 행동하는 것이 사고를 부채질한다고 보고 '자전거도 자동차'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육'을 노인복지회관 등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자전거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동영상 자료와 사고 예방을 위한 자전거 후미등·반사스티커도 배포한다.


이밖에 교통 법규 위반행위 단속도 실시한다. 경찰은 사망사고와 직결되는 자전거 역주행·도로횡단(중앙선 침범) 등 주요 교통 법규 위반 행위와 자동차 전용도로 운행 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단속한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자전거는 편리한 교통수단이지만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크게 다칠 위험이 있다. 교통법규와 안전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