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노동조합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힘을합쳐 금호타이어의 부실매각 저지 및 정상화 요구에 나선다.
광주지역 시만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금호타이어 부실 해외매각 저지 및 정상화를 위한 광주공동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31일 광주시청 앞에서 대책위 결성 기자회견을 가졌다.

대책위는 “그동안 산발적 개별단체별로 내 온 해외매각 반대의 목소리를 한데 모아 금호타이어 정상화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대책위를 결성했다”며 “금호타이어의 해외매각과 박삼구 회장의 재인수에 모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정상화 방안 강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먼저 산업은행에 더블스타에 매각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금호타이어를 중국업체에 넘기면 당장은 채권단 지분처분이나 금호타이어 중국실적 개선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로 국가경제와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며 “금호타이어 보다 자본규모나 시장경쟁력 떨어지고 차입한 인수비용의 이자감당 조차 의심스러운 더블스타에 헐값에 매각하는 것은 국책은행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의 기술만 유출하고 국내생산을 축소해 나갈 것을 우려했다. 대책위는 광주전남연구원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금호타이어가 더블스타에 매각된 후 생산을 30%만 감축해도 생산감소유발효과 2조1846억원, 부가가치감소유발효과 6309억원, 고용감소유발효과 7558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책위는 이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인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박삼구 회장은 금호산업을 인수하며 가용자산을 다 소진했고 금호타이어를 정상적으로 인수할 자기자본이나 자금조달 능력이 없다"며 "박회장이 무리한 자금조달로 금호타이어를 인수할 경우 얼마못가 회사가 다시 경영위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금호타이어의 매각보다 정상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지방분권 강화와 지역균형발전을 주장하는 문재인정부가 금호타이어 문제를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된다”며 “정부가 나서 금호타이어 매각을 즉각 중단하고 정상화를 위해 책임있는 역할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