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적폐청산과 문화민주주의를 위한 문화예술대책위원회'가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아직 이명박과 유인촌의 국가 폭력을 기억하고 있다'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문화예술인들이 문화예술인 지원 배제 명단인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와 관련, 이명박 전 대통령과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300여개 단체 8000여명 문화예술인이 결성한 '적폐청산과 문화민주주의를 위한 문화예술대책위원회'(이하 문화예술대책위)는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아직 이명박과 유인촌의 국가 폭력을 기억하고 있다' 성명을 발표했다.
문화예술대책위는 "이명박정부 시절 문화예술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공작 정치는 문서 작성으로 끝나지 않았다"며 "당시 유 전 장관은 이명박정부 완장을 차고 문화예술계에 대한 불법적인 퇴출 작업을 진두지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유 전 장관은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김정헌 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 등을 자리에서 내쫓은 장본인"이라며 "이명박정부 블랙리스트 사태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화예술대책위는 "이명박정부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비롯해 화이트리스트까지 적극적으로 운영하며 문화예술계를 대상으로 국가 폭력과 범죄를 일상적으로 자행했다"며 "이명박정부에서 작성된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은 2000년대 작성했다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시대착오적인 이념 정책들로 가득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종로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를 방문해 이 전 대통령과 유 전 문체부 장관, 신재민 전 문체부 차관에 대한 조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앞서 진상조사위는 지난 18일 진상조사위원회는 첫 대국민 보고 자리에서 "블랙리스트가 이명박정부 시절인 2008년부터 시작됐다는 것을 당시 국가정보원의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 문건을 통해 확인했고, 최근 국정원의 '이명박정부 블랙리스트' 문제가 제기된 만큼, 특정한 시기를 한정하지 않고 조사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