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자유한국당 최고위원이 친박 표현을 부정하는 한편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요구했다. 대표적인 친박계로 분류되는 김태흠 의원은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김태흠 의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지도자가, 예를 들어 친박의 구심점이 지금 감옥에 갔는데 무슨 친박이 있느냐”면서 친박 호칭을 이제 그만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당 혁신위에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권고 이후에 탈당이 없으면 당에서 제명한다는 안을 내놓은 데 대해서도 의견을 전했다. 김 의원은 “(박 전 대통령) 본인의 의사를 묻고 본인이 스스로 당적 정리를 하든 않든 간에 본인한테 먼저 이 부분은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있다”며, 박 전 대통령 의중을 묻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홍준표 대표가 시간적 여유를 거론하며 정리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한 데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지금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미 당원권 정지가 돼 있는 상황이다. 정치적으로 이미 지금 죽어 있는 상황”이라며, “(혁신위가) 너무 박근혜 대통령의 당적 정리가 안 된 부분들이 당이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다, 이렇게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당적 문제 가지고 지금 지지율이 안 올라가고 (그런 것은 아니다)”는 의견을 거듭 내비쳤다.

김 의원은 보수대통합에 대해서도 다른 전제조건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대당 통합이라는 것은 보수통합이라는, 또 우파의 가치를 실현하자는 그러한 미래에 대한 생각을 갖고 가야지 이게 전제조건이 있다 그러면 네 탓, 내 탓이 되고 그다음에 서로 간에 그런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터뷰 도중 김 의원은 거듭 친박이라는 표현에 대한 불편함을 표현했다. 그는 “친박, 친박 자꾸 얘기하는데 지금 박근혜 대통령 밑에서 장관 지냈던 사람들 아니면 일부 했던 분들 이런 분들도 지금 활동을 않지 않느냐.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서 그래도 좀 더 열심히 했던 사람들이다 이런 형태로 가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