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국제현상설계 공모 당선작 '빛과 함께 걷다'. /자료=서울시 제공

영동대로에 대형 공원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국제현상설계 공모 당선작으로 ‘도미니크 페로 설계 컨소시엄’의 ‘빛과 함께 걷다(LIGHTWALK)’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도미니크 페로는 이화여대 캠퍼스센터(ECC) 설계자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프랑스 출신 건축가다.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는 영동대로 지하공간에 통합역사와 버스환승정류장, 공공·상업시설 등이 들어서는 지하 6층, 연면적 16만㎡ 규모의 복합환승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서울시가 국토부와 함께 동남권 국제교류복합지구 핵심 인프라로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 6월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사전 공모를 통해 선정된 국내외 6개 설계 팀을 지명 초청해 약 3개월 동안 국제설계공모를 실시했다.


이번에 선정된 설계안에 따르면 영동대로 상부에 3만㎡ 규모의 대형 녹지광장이 조성된다. 광장 중앙은 콘서트 공연, 불꽃놀이 등 행사가 열릴 수 있는 빈 공간으로 만들어지고 광장 주변부는 상록수가 둘러싼다. 상록수는 조경효과를 내는 것은 물론 주변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공해와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또 녹지광장을 중심으로 삼성역(2호선)부터 봉은사역(9호선)에 이르는 560m 구간에는 '라이트빔'(Light beam)이 설치된다. 라이트빔은 태양광을 흡수, 집적하고 반사시키는 일종의 태양광 공급시설로, 모아진 태양광을 환승센터 지하 4층 깊이까지 전달해 지하에서도 자연광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교통시설 이용 수요, 노선별 특성 등을 고려한 시설 배치를 통해 지하에 조성되는 철도 통합역사와 버스환승정류장간 환승 거리도 줄였다. 복합환승센터의 평균 환승 거리는 서울역(378m)의 3분의 1 수준인 118m로 설계됐다.


설계공모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기호 서울시립대 교수는 "이번 심사에서는 상부 광장의 성격과 미래 이용 가능성, 주변 도시와의 관계, 교통수단간 상호연계, 교통 처리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고 밝혔다. 또 "당선작은 도심 한복판에 수목으로 둘러싸인 열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평안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리 구조화된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 미래 이용 신축성과 확장성이 크다는 점도 높이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현상설계 당선자에는 기본설계권과 실시설계·시공 과정에서의 사후설계관리권이 주어진다. 시는 설계범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상을 거쳐 오는 12월 중 설계 계약을 체결해 내년 1월부터 기본설계에 착수, 2019년 1월까지 설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시는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시청 신청사 1층 로비에서 당선작을 비롯한 공모 출품작 6개 작품을 전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