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서울 국방부에서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 40일 조사경과 보고 기자회견에서 김희송 조사관이 1988년 육군본부군사연구실 명의로 제작된 '광주사태 체험수기(5.18 당시 현장에 투입된 군인 대상, 왼쪽)'와 '80위원회'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두환 신군부 정권이 5·18 민주화 운동 이후 진실을 감추기 위해 문서, 기록 등을 조작하거나 훼손한 정황이 잇따라 드러나고 있다. 23일 국방부 5·18 특별조사위원회는 전두환 정부 시절 정보기관 주도로 '80위원회'를 구성해 5·18 관련 자료의 조작·왜곡을 시도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80위원회는 1988년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은폐 공작을 담당했던 보안사령부 '511 분석반'보다 3년 앞선 것으로, 이번에 처음으로 정부 공식문서를 통해 실체가 확인됐다. 특조위는 "80위원회의 활동결과가 군 기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군 자료 일부도 함께 공개했다.

특조위가 공개한 '육군본부군사연구실 광주사태체험수기'는 1988년 발간된 것으로, 1985년과 1988년 2번에 걸쳐서 27명을 대상으로 작성됐다. 이중 85년 당시 지침에는 '군에 불리한 내용은 재송부해 수정할 것'이라고 명기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조위는 이밖에도 체험수기에서 화이트를 이용해 수정된 흔적도 발견했다.


특조위에 따르면 1981년 6월8일 제공된 체험수기를 보면 5월21일 도청 앞 집단발표의 경우 ‘오후 1시30분 자위권 보유 천명이 하달됐다’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특히 간부급 체험 수기에는 '무릎 쏴' 자세로 집단사격을 했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또 특조위는 1980년과 1981년 사이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무사 제출자료의 체험수기와 1988년 군사연구소가 발간한 체험수기를 비교할 때 내용 차이 뿐만 아니라 특정사건에 대한 수정 사항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특조위는 이를 80위원회와 같은 정부차원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던 결과로 추정했다.

신군부 기록 수정 정황은 군 문건 뿐만 아니라 경찰 문건에서도 확인됐다. 앞선 전남경찰청은 1980년 5월21일 계엄군의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가 자위권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논리를 만들기 위해 신군부가 경찰 상황일지까지 조작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전남경찰이 보안사가 보존하고 있는 '전남도경 상황일지'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나주 남평지서와 반남지서에 대한 시민들의 무기 및 탄약 피탈 일시는 1980년 5월21일 오전 8~9시로 기록돼 있다. 반면 5·18 직후 치안본부에서 작성한 '전남사태 관계 기록' 중 '예비군 무기 탄약 피탈 상황' 일지에는 두 곳의 피탈 일시가 5월21일 오후 1시30분과 오후 5시40분으로 작성돼 있다.

경찰은 '전남사태 관계 기록'의 경우 경찰 감찰 자료로, 5·18 이후 직원들에 대한 '징계' 등의 근거로 활용됐기 때문에 사실 관계가 가장 정확하게 기록돼 있는 문서라고 설명했다. 즉 계엄군이 자위권 발동이라는 논리를 만들기 위해 신군부가 전남도경 상황일지를 조작했다는 게 전남경찰 분석이다.

이같은 광범위한 문건 훼손 정황과 관련, 정수만 전 유족회장은 "3·7·11공수의 전투상보나 상황일지를 보면 임무 내용만 다를 뿐 작성 형식이나 글씨체가 똑같다. 한 자리에 모여 작성하는 등 내용이 조작됐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아직까지 나오지 않은 군 기록이 방대하다. 어떤 기록이 왜곡되고 조작됐는지 밝혀야만 80년 5월의 진실이 규명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