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시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노동계와는 첫 간담회로,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서 빠져 있는 민주노총도 참석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경제계 인사들과 만났던 당시처럼 노동계와도 청와대서 만찬을 하며 '파트너'로서 존중한다는 메시지를 드러낼 계획이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1부 티타임(사전 환담)과 2부 만찬으로 나눠 노동계와 회동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30분부터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한국노총·민주노총 지도부와 환담을 할 계획이다. 본관 접견실은 정상급 외빈을 만날 때 사용하는 장소이다. 청와대는 장소 선정 배경에 대해 "노동계를 예우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환담에는 한국노총에서 김주영 위원장, 김명환 부위원장, 이성경 사무총장이 참석하고 민주노총에서는 최종진 위원장 직무대행, 김종인 수석부위원장 직무대행, 김혁 사무부총장이 참석한다. 청와대와 정부에서는 김영주 고용노동부장관,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수현 사회수석,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반장식 일자리수석 등이 함께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6시30분부터 노동계 대표단과 만찬을 시작한다. 본관 1층 계단 앞에서 잠시 선 채로 티타임을 가진 뒤 본관 충무실에서 저녁 식사를 할 예정이다. 만찬 역시 양대 노총에다 미가맹 노조까지 초청해 노동계 전체를 아우른다는 뜻을 담아낸다.
1부 환담에 참석한 양대 노총 지도부 6명과 한국노총 소속은 윤영인 핸즈식스·고암에이스 화성지역노조 위원장, 김영숙 국회환경미화원노조 위원장, 허정우 SK하이닉스 이천 노조 위원장, 류근중 자동차노련 위원장, 허권 금융노조 위원장이 참석한다.
이 만찬은 문 대통령이 경제계를 만났을 때부터 예고됐다. 대기업, 중소기업계는 물론 노동계도 만나 현안을 청취하는 일환으로, 어떤 의제를 테이블에 올릴지가 주목된다.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을 포함한 사회적 대화가 화두로 거론된다. 문 대통령이 민주노총의 노사정위 복귀, 대형 노조 등의 기득권 내려놓기나 쇄신 필요성을 언급할 수도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1부 티타임(사전 환담)과 2부 만찬으로 나눠 노동계와 회동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30분부터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한국노총·민주노총 지도부와 환담을 할 계획이다. 본관 접견실은 정상급 외빈을 만날 때 사용하는 장소이다. 청와대는 장소 선정 배경에 대해 "노동계를 예우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환담에는 한국노총에서 김주영 위원장, 김명환 부위원장, 이성경 사무총장이 참석하고 민주노총에서는 최종진 위원장 직무대행, 김종인 수석부위원장 직무대행, 김혁 사무부총장이 참석한다. 청와대와 정부에서는 김영주 고용노동부장관,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김수현 사회수석,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반장식 일자리수석 등이 함께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6시30분부터 노동계 대표단과 만찬을 시작한다. 본관 1층 계단 앞에서 잠시 선 채로 티타임을 가진 뒤 본관 충무실에서 저녁 식사를 할 예정이다. 만찬 역시 양대 노총에다 미가맹 노조까지 초청해 노동계 전체를 아우른다는 뜻을 담아낸다.
1부 환담에 참석한 양대 노총 지도부 6명과 한국노총 소속은 윤영인 핸즈식스·고암에이스 화성지역노조 위원장, 김영숙 국회환경미화원노조 위원장, 허정우 SK하이닉스 이천 노조 위원장, 류근중 자동차노련 위원장, 허권 금융노조 위원장이 참석한다.
민주노총 소속으로는 안병호 영화산업노조 위원장, 박대성 희망연대노조 위원장, 최병윤 서울지하철노조 위원장, 조영주 정보통신산업노조 위원장, 유지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이 초청됐다. 미가맹 노조를 대표해서는 김민수 청년유니온 위원장, 김준이 사회복지유니온 위원장이 참석한다.
초청 대상에도 의미를 부여했다.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자동차 휠 제조 업체 핸즈식스와 지하철노조는 정규직 비정규직 연대의 모범 사례, 하이닉스는 협력 업체 지원 부문의 모범 사례이다. 국회환경미화원노조는 선도적 정규직 전환 모델이다. 금융노조는 일자리 창출 사업, 청년유니온과 사회복지유니온은 청년과 사회복지 종사자 등 노동 취약 계층 지원 사업으로 평가된다.
이 만찬은 문 대통령이 경제계를 만났을 때부터 예고됐다. 대기업, 중소기업계는 물론 노동계도 만나 현안을 청취하는 일환으로, 어떤 의제를 테이블에 올릴지가 주목된다.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을 포함한 사회적 대화가 화두로 거론된다. 문 대통령이 민주노총의 노사정위 복귀, 대형 노조 등의 기득권 내려놓기나 쇄신 필요성을 언급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