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사진=임한별 기자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자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민간단체에 정부가 100만달러(약 11억3000만원)를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는 이 단체를 다음해 중 국제기구로 전환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쿠웨이트 정부와 함께 지원을 결정한 것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 단체의 명칭은 '세계시민을 위한 반기문 센터'로, 반 전 총장이 지난 8월 오스트리아 빈에 설립했다. 오스트리아에 협회로 등록했지만 아직 사무실 개소도 하지 못했고 이사진이나 직원도 꾸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체를 지원할 명목으로 외교부 산하 국제교류재단(KF) 다음해 예산안에 100만달러가 편성됐다.
예산안 보도자료 등에는 이 단체에 지원할 100만달러의 내역과 사업 계획 등이 빠져 있다. KF는 외교부의 요청을 받고 뒤늦게 예산을 편성해 구체적인 내역은 적시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이 센터는 반 전 총장과 하인츠 피셔 전 오스트리아 대통령 주도로 오스트리아 국내법상 비영리재단으로 지난 8월 설립됐으며,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 실현을 위한 세계시민교육(SDGs)' 증진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오스트리아 정부 후원 하에 지난 8월 개소된 이 센터는 다음해 중 국제기구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한국 및 쿠웨이트 정부가 지원을 결정하게 됐다. 이 기구에 두 개 이상의 국가가 참여 의사를 밝혀야 내년 중 국제기구로 전환될 수 있음을 감안해 8월 중 예산 편성을 요청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향후 우리 정부는 투명하고 효과적인 예산 집행을 위해 센터측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구체 사업 집행을 지속 감독해나갈 것"이라며 "아직 국제기구 전환 이전임을 감안해 국제기구 분담금이 아닌 KF 예산으로 지원하게 됐으나 KF 사업 전반의 효과를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국익증진 차원에서 이 센터 지원을 결정하게 됐다. 국제교류법상 외국의 단체나 기관을 지원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