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여행 경험이 있는 국민 대부분이 기내 키즈존 도입에 찬성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스카이스캐너
'노키즈존'(No kids zone) 논란이 화제가 된 가운데 기내 유아동반석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세계 여행가격비교사이트 스카이스캐너가 최근 한국인 여행객(20~59세) 25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1%가 아이 동반 가족을 위한 키즈존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기내 노키즈존 도입에 대해서는 반대(51%) 의견이 찬성(39%)보다 우세했다. 어린이 입장을 금지하는 노키즈존 논란이 요식업계를 중심으로 일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결과라 눈길을 끈다.
같은 조사에서 자녀 동반 항공 여행 시 난감했던 상황을 겪은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절반 수준이었다. 가장 곤란한 상황은 '아이가 기내에서 우는 경우'(78%), '화장실과 아기 기저귀갈이 장소 부족'(33%), '아이의 건강 이상'(23%) 순이었다.
또 보완하거나 필요한 기내 서비스로는 '기내 수유실과 개별 공간'(6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유아 동반 승객 대기시간 우대 서비스'(52%), '아동석 할인 서비스'(44%) 등이었다.
노키즈존은 우리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다. 현재 몇몇 외국 항공사가 좌석 일부를 노키즈존으로 운영 중이다.
말레이시아항공은 2012년부터 일부 노선의 2층 이코노미석을 12세 미만 어린아이의 출입을 제한하는 '조용한 구역'(Quite Zone)으로 지정했다. 다만 유아 승객의 탑승을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조용한 구역에도 만일을 위한 요람이 갖춰져 있고 1층에 좌석이 부족한 경우 어린이도 조용한 구역에 탑승할 수 있다. 에어아시아, 스쿠트항공, 인디고 등 아시아 저비용 항공사(LCC)들은 조용한 기내 환경을 원하는 여행객에게 좌석을 판매 중이다.
국내 항공사의 경우 이같은 구역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별도로 유아용 기내식과 요람,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동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아이 동반 항공 여행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61%가 동반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한 서비스는 '이유식 및 유아식 서비스'(76%)였고, '24개월 미만 승객을 위한 국내선 무료 운임 서비스'(31%)와 '성인 요금의 일부를 부담하는 소아 운임 할인 서비스'(24%)가 뒤를 이었다. 유아 동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8점을 기록했다.
스카이스캐너 관계자는 "부모와 승무원들의 따뜻한 보살핌도 중요하나 어린 자녀를 위한 항공 서비스를 미리 챙긴다면 좀 더 편안하게 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