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에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시스(AP 제공)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에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지난 29일 북한이 세 번째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행한 데 따른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29일(현지시간) 오후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세계는 전쟁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며 각국에 외교, 무역 단절 등 북한의 국제적 고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헤일리 대사는 "29일 발사된 북한의 미사일은 이전에 발사된 것보다 더 발전된 형태다. 북한의 위협은 고조되고 있고 북한 정권의 독재자가 핵무기를 보유하기 위해 더욱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게 자명하다"고 지적했다.
헤일리 대사는 중국에도 추가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에게 북한에 원유 공급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헤일리 대사는 원유 공급 중단 조치가 "김정은 위원장을 멈추기 위한 세계의 노력에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헤일리 대사는 전쟁 가능성을 언급하며 북한에 대해 강력 경고 메시지도 전했다. 그는 "투표권을 포함해 북한의 유엔 회원국 자격을 박탈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만일 전쟁이 난다면, 북한 정권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안보리 긴급회의는 전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직후 한국과 미국, 일본의 요청에 따라 열렸다. 북한은 관영 조선중앙TV를 통해 발사한 미사일이 신형 ICBM급 '화성-15형'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전문가들에 따르면 정상 고도로 발사할 경우 이 미사일은 북한 평양에서 미국 수도인 워싱턴 D.C. 까지 거리를 넘는 1만3000㎞까지 비행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