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김진아 기자
재취업 경험이 있는 40세 이상 중장년 10명 중 4명은 재취업후 임금이 이전 주된 직장에서보다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40세 이상 중장년 5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주된 직장 퇴직 후‘재취업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구직자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4.8%였다.
들의 재취업 후 임금수준은 주된 직장대비 ▲50%미만이 38.4%로 가장 많았고, ▲50%~60% 19.4%, ▲60%~70% 15.5% 순이었으며 이전 주된 직장 임금보다 높게 받는다는 답변은 1.8%에 불과했다.
중장년이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이유는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 라는 응답이 56.6%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정년퇴직(21.4%), ▲사업부진, 휴‧폐업(13.3%) 순이다.
재취업한 회사에서의 근속기간은 ▲1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45.4%였으며 ▲1년 이상~2년 미만 29.2%, ▲2년 이상 25.4%로 조사됐다. 특히 재취업한 5명 중 1명은 6개월 이내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한 회사에서 퇴사한 사유는 ▲계약기간 종료(27.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사업장 경영악화(21.5%), ▲고용불안, 기업성장 가능성 불투명(12.3%) 순이었다.
중장년이 구직시 가장 어려운 점은 ▲중장년 채용수요 부족이 50.0%,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가 34.0%로 이들 두 가지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재취업 활성화 과제는 ▲중장년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 개발(34.1%)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고, 이어 ▲중장년 일자리기관 확충(15.8%), ▲장년 친화적 고용문화 확산(15.3%), ▲다양한 직업교육 운영(13.2%) 등 이었다.
은퇴이후 필요자금의 충족방법으로는 재취업(34.6%)을 가장 많이 선호했고, 이어 ▲국민연금 등 공적지원(24.8%), ▲재테크(14.3%), ▲개인연금(13.0%) 순으로 응답했다.
배명한 협력센터 소장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경력에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렵고 임금 수준도 점점 낮아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장년고용 활성화 대책과 함께, 정부의 중장년 채용지원제도 또한 확대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