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20일 북측이 비무장지대(DMZ) 중부전선 GP(감시초소)를 폭파하는 장면을 공개했다./사진=뉴시스(국방부 제공)
북측이 20일 오후 3시쯤 시범적으로 철수하기로 한 감시초소(GP) 10개소를 폭파 방식으로 파괴했다고 국방부가 전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북측은 서해지구 군통신선을 통해 시범 철수대상 GP 10개소를 20일 오후 3시에 일괄 폭파할 것임을 우리 측에 사전 통지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북측은 해당 GP의 구조상 지하에 있는 부분도 있어 폭파 방식으로 철거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앞서 9·19군사분야합의서 이행을 위해 지난 1일부터 북방한계선(MDL)을 기준으로 상호 1㎞ 내에 있는 GP 11개를 시범철수하기로 했다. 지난 10일 GP의 병력과 장비 철수를 완료한 뒤 12일부터는 시설물 철거작업을 진행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북측은 서해지구 군통신선을 통해 시범 철수대상 GP 10개소를 20일 오후 3시에 일괄 폭파할 것임을 우리 측에 사전 통지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북측은 해당 GP의 구조상 지하에 있는 부분도 있어 폭파 방식으로 철거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앞서 9·19군사분야합의서 이행을 위해 지난 1일부터 북방한계선(MDL)을 기준으로 상호 1㎞ 내에 있는 GP 11개를 시범철수하기로 했다. 지난 10일 GP의 병력과 장비 철수를 완료한 뒤 12일부터는 시설물 철거작업을 진행했다.
지난 15일 강원도 철원지역 중부전선 GP가 철거됐다./사진=뉴시스
이후 우리 군은 15일 강원도 철원지역 중부전선에 있는 전방 GP의 상부구조물을 폭파 방식으로 철거했다.
당시 우리 군은 DMZ 내 환경 문제와 작업 인원들의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폭파 방식 대신 굴착기 사용 방식을 택했으나 일부 작업에 제한이 있어 GP 상부구조물만 폭약(TNT)을 사용해 철거했다.
우리 군이 폭파 방식으로 GP 시설물을 철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북 군사당국은 상호 완전파괴하기로 합의한 20개 GP를 이달 말까지 완전 철거 조치하고 상호 검증절차를 마련해 다음달 말까지 GP 철수 및 파괴 상태를 철저히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로 설치된 동해안 GP는 역사적 상징성, 보존가치와 향후 평화적 이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보존할 계획이다.
북측의 경우 최전방 GP로부터 약 350m 떨어진 강원도 철원 인근 '까칠봉 초소'를 보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2013년 6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시찰에 나서며 북한 매체들이 자주 선전해왔던 곳이다.
당시 우리 군은 DMZ 내 환경 문제와 작업 인원들의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폭파 방식 대신 굴착기 사용 방식을 택했으나 일부 작업에 제한이 있어 GP 상부구조물만 폭약(TNT)을 사용해 철거했다.
우리 군이 폭파 방식으로 GP 시설물을 철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북 군사당국은 상호 완전파괴하기로 합의한 20개 GP를 이달 말까지 완전 철거 조치하고 상호 검증절차를 마련해 다음달 말까지 GP 철수 및 파괴 상태를 철저히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로 설치된 동해안 GP는 역사적 상징성, 보존가치와 향후 평화적 이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보존할 계획이다.
북측의 경우 최전방 GP로부터 약 350m 떨어진 강원도 철원 인근 '까칠봉 초소'를 보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2013년 6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시찰에 나서며 북한 매체들이 자주 선전해왔던 곳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