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택시 4개 단체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 의사당대로에서 '카카오 카풀 반대 3차 집회'를 개최한 가운데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10만여명의 기사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임한별 기자

택시업계가 지난 20일 '카카오 카풀' 시행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로 구성된 카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 새벽 4시부터 24시간 동안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와 함께 전국의 택시기사들은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 모여 '제3차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었다. 주최 측은 이날 집회 참가 인원이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측했으며 경찰 측은 따로 이를 집계하지 않았다. 

택시업계는 카풀 이용자가 증가하면 승객이 줄어 수입이 감소한다며 카카오 카풀 서비스를 반대하고 있다. 카풀(Carpool)이란 목적지나 방향이 같은 사람들이 한대의 차량에 함께 타고 가는 것을 뜻한다. car-sharing(카셰어링), ride-sharing(라이드셰어링), lift-sharing(리프트셰어링)이라고도 불린다. 

김태환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사무처장은 이날 결의문을 통해 "우리 30만 택시종사자들과 100만 택시종사자 가족은 공유경제 운운하며 생존권을 말살하는 카풀 영업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국회가 상업적 카풀앱을 금지하는 법개정을 즉각 처리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카풀앱은 분명 여객법으로 규정한 카풀 취지와는 거리가 먼 상업적 목적을 위한 불법 영업행위다"며 "공유경제, 4차 산업혁명 운운하면서 법률의 틈바구니를 파고들어 자가용의 택시영업을 자행하는 불법 카풀앱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