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기업 불매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가운데 전남도교육청 내에 설치된 친일기업 목록/사진=홍기철기자
일본의 연이은 경제보복조치와 관련해 국민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르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에서도 반일 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5일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은 확대간부회의에서 "교직원들이 언행이나 일상에 있어 혹시라도 국민정서에 반하거나 오해를 자아내는 행위를 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유념하라"고 당부했다.
앞서 도 교육청은 일본출장이나 교류, 체험학습 중지를 권고했다. 또 학교 내 친일잔재 청산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날 광주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장단 일동도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선언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모든 광주의 특성화·마이스터고는학생실험실습 기자재, 비품, 재료에 일본제품을 사용하거나 구입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일본의 경제전쟁 선포에 맞서 한반도 침략과 수탈의 역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하고 자주독립정신 고취와 민족통일교육을 확대한다"면서"경제자주독립국 대한민국으로 도약을 위해 학생들의 기술능력 향상교육을 강화해 기술자립 인력양성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장휘국 광주교육감도 지난 3일 일본의 '경제 침략'에 맞서 친일 교육잔재를 청산하고, 역사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장 교육감은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제외한 행위는 착취의 역사를 반복하는 것이며, 명백한 '경제 침략'이다"며 "과거에 대한 반성은 찾아볼 길 없는 일본 정부의 역사의식에 매우 큰 실망감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명백한 '무역보복'이다"며 "역사의 가해자가 사과는 뒤로 한 채 역사의 피해자에게 보복하는 행위에 우리 국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 교육감은 "올해는 3·1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며, 광주학생독립운동 90주년으로 우리는 무력으로 국권을 침탈했던 일제에 맞서 싸웠고, '자주 대한민국'을 건설하고 발전시켜 왔다"며 "우리에겐 시련을 이겨낸 저력이 있으며, 국민적 지혜를 모은다면 이 위기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밝혔다.
광주남구의회와 전남도의회, 장성군의회, 함평군의회, 담양군의회도 일본규탄 성명서를 발표했으며 장흥군에서도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 장흥 100여개 사회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일본의 2차 경제보복조치를 규탄했다.
광주광역시의회도 최근 성명서를 내고 "독립운동을 하는 비장한 각오로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 배제 등 보복적 수출 규제를 강력히 규탄하며, 보복 조치의 즉각 철회와 한국 사법부의 준엄한 판결에 대한 전범 기업의 실천적 이행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