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 뉴스1 송영성 기자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 = 조국 사태를 거론하다 강성 당원들에게 '초선오적'으로 낙인찍힌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번엔 한국전력공사에 대한 정부 규제를 합리화해야 한다고 밝혔다가 또다시 곤욕을 치르고 있다.
5일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게시판에는 이 의원을 비난하는 글이 빗발치고 있다.

이 의원은 전날(4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전력시장에 대한 정부의 규제 완화 필요성을 질의했다.


이 의원은 "한전의 경우 지분 51%는 국가가 소유하는 공기업이지만, 나머지 지분은 코스피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기업"이라며 "한전이 영업활동을 하는데 상장기업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정부의 많은 규제 속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리기업의 기본적인 경영상 의사결정을 정부가 제약하게 되면 한전의 이사회는 형법상 업무상 배임죄 위험에 노출되게 되고, 해외투자자로부터 '투자자 국가소송'(ISD) 대상이 될 우려 또한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문 후보자는 "우리나라 전력시장이 상대적으로 규제적인 요인이 많다"며 "시장경제에 맞게 운영될 수 없는지 고민하겠다"고 답했다.


이를 두고 강성 당원들은 이 의원의 사퇴 등을 촉구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권리당원게시판에 "한전 민영화라니 기가 막히다", "이소영 의원을 제명해라", "초선오적에 민영화까지, 왜 민주당에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또 이 의원의 페이스북에도 댓글을 통해 '민주당에 왜 있는 것이냐', '지지를 철회하겠다' 등 비판의 글이 오르는 상황이다.

이에 이 의원은 "한전 민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아니다. 오해가 있을 만한 언급이 없었는데 아쉽다"며 "한전, 전문가, 상임위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온 이슈"라고 밝혔다.

이어 "김종갑 한전 사장도 국정감사 등에서 투자자 보호 리스크, ISD의 압박을 받고 있으니 해결해달라고 요청한 사안이다"며 "정부 규제가 투자자 이익을 침해할 수 있는 사안이기에 이에 대해 언급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문자폭탄 관련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달 9일 오영환, 전용기, 장경태, 장철민 의원과 함께 그간 금기시됐던 추미애-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에 대해 "국민께서 사과를 요구하면 사과할 용의도 있다"고 해 강성 당원들로부터 초선오적으로 불리게 됐다.

강성 당원들은 이들을 초선오적으로 규정하고 연락처를 온라인에 공개해 문자폭탄을 보내기도 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문자폭탄에 대해 이런저런 의견이 나오지만, 아직 송영길 대표 체제 지도부 사이에서도 온도차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