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에크모 개발 총괄을 맡은 조양현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 교수(왼쪽)와 에크모 이송팀이 앰뷸런스 앞에서 에크모 이송팀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스1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삼성서울병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 치료에 사용하는 '에크모(ECMO)' 국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현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크모는 심폐부전이나 심정지 등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체내 혈액을 환자 몸 밖으로 빼내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고, 다시 환자 몸 안에 넣어주는 장치다. 몸 밖에서 심장과 폐의 역할을 대신해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로 불린다.
삼성서울병원은 4일 강원대, 인성메디칼, 시지바이오 등과 함께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시작한 '휴대형 심폐순환 보조장치(ECMO) 개발사업'에 대해 최근 프로토타입(개발 중인 기기의 성능 검증을 위해 앞서 제작한 시제품) 장비를 이용해 전임상시험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병원 측은 올해 내 탐색임상시험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2026년까지 국가 연구개발비 66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중인 장비는 실제 심장과 유사하게 박동성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 장비는 전력이 부족한 병원 밖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앰뷸런스, 사고 현장 등에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올해 내 탐색임상시험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과제 총괄책임자인 조양현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심장외과 교수는 "현재 개발 중인 에크모는 외국산 대체를 넘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멀리 내다보고 도전적으로 준비했다"며 "에크모 국산화와 기술 혁신에 반드시 성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