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지난 20대 대통령선거 기간 후보 지지도를 살펴본 결과 정치 성향과 투표 행태가 지역주의 등이 득세했던 과거 형태와 비슷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별 양극화는 물론이고 수도권 지역에서도 원적별에 따른 투표 행태가 지난 대선에서 뚜렷했다는 것이다.
한국조사협회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개최한 '2022 대선 여론조사와 출구조사 진단'에서 한국갤럽의 허진재 이사는 한국 대선의 흐름과 유권자의 변화에 대해서 주요한 특징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대선 결과에서 지역주의는 여전히 강고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윤석열 당선인의 득표율은 73.9%에 달했지만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22.8%에 그쳤다. 반면 광주·전라 지역에서의 이 후보의 득표는 84.6%, 윤 당선인은 고작 12.9%였다.


이 같은 지역주의가 새로울 것은 없지만 이 경향이 수도권에 미친 영향은 주목해 볼 만하다. 갤럽의 대선 1~2일 전 수도권 유권자의 지지 후보 조사를 살펴보면 유권자의 성향은 부모님의 고향, 즉 원적지에 따라 크게 갈렸다.

부모님의 고향이 대구·경북일 경우 윤 당선인의 지지가 60%에 달했고 반면, 원적지가 광주·전라일 경우에는 70%가 이 후보를 지지했다.

이 같은 경향은 지난 19대 대선과 21대 총선과는 확연히 다른 지점이라고 허 이사는 설명했다. 허 이사는 "불과 2년 전에는 부모님의 고향이 대구, 경북이라도 민주당이나 문재인 대통령을 찍은 젊은이들이 많았는데 이번에는 그 반대로 돌아섰다"며 "원적별 지지도는 대선 결과로도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지역주의를 타파하는데 명확한 방법이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허 이사는 "시간이 지역주의를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는 무리가 있다"며 "원적지에 따른 정치 성향은 상당히 견고하다"고 말했다.

물론, 지난 1997년 15대 대선에 비해 이번 대선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험지에서 얻은 득표가 3배가량 늘긴 했지만 이 역시 지역주의 완화에 따른 현상이라기보다는 후보의 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2002년 당시 노무현 후보과 2012년 문재인 후보가 부산·울산·경남에서 각각 29.4%, 38.4%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해당 지역을 고향으로 둔 후보들의 특성이 반영됐다는 지적이다.

수도권 젊은층의 유권자가 원적지에 따라 후보 지지가 이뤄졌듯 이념 성향의 변화도 눈에 띄었다. 갤럽의 데일리 오피니언 조사 결과 2018년 20대와 30대의 진보 성향 비율은 각각 37%, 42%였다. 그러나 2022년 2월 조사에서는 각각 24%, 26%로 크게 떨어졌다.

이 변화의 가장 큰 배경으로 허 이사는 부동산 문제를 꼽았다. 최근 부동산 소유 여부를 묻는 조사에서 해당 연령층의 자가주택 여부가 가장 낮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이 같은 성향이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게 갤럽의 설명이다. 허 이사는 "불과 2년 만에 정치 성향이 변했듯 이들이 또 어떻게 변할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30~40대 여성층의 스윙보터화,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제3의 후보 여부가 판세의 균열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