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가 엑스 스피디움 쿠페의 내장 디자인을 처음 선보였다. /사진=현대차
제네시스는 '엑스 스피디움 쿠페'의 실내 공간에 운전자 중심 설계를 바탕으로 '여백의 미'를 구현했다. '적을수록 좋다'는 제네시스의 '환원주의적 디자인' 원칙에 따라 절제된 디자인 언어를 사용한 것이다.
'엑스 스피디움 쿠페'의 내장 디자인 중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특징은 모든 조작계와 디스플레이가 운전자를 감싸는 형태의 칵핏이다. 제네시스는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된 칵핏에 곡선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배치했다. 이 클러스터의 그래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고성능차를 떠올리게 하는 RPM 게이지를 뉴트로 스타일로 재해석한 모터 출력 게이지를 중앙에 위치시켰다.
운전석 오른쪽에 위치한 세로형 디스플레이는 터치식 UI 디자인으로 차량 시동, 멀티미디어 재생 등 다양한 기능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대시보드와 이어진 플로팅 센터 콘솔은 탑승자를 감싸는 듯한 느낌을 더하며 전동화 시대에도 '운전의 즐거움'이라는 가치는 이어질 것을 암시한다.
제네시스 엑스 스피디움 쿠페 내장 디자인. /사진=현대차
차량 실내를 가득 채우는 풍부한 사운드 또한 운전하는 즐거움을 더한다. ▲트위터 ▲ 미드레인지 ▲우퍼 ▲서브우퍼 등 여러 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음향 시스템은 탑승자의 위치를 고려해 배치됐다. 고음역대를 담당하는 트위터 스피커의 경우 음향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밀링 가공으로 완성된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엑스 스피디움 쿠페'의 트렁크 내부에는 '제네시스 민트 콘셉트'에서 처음 소개됐던 지-매트릭스 패턴을 활용한 엑스 자 형태의 스트랩이 적재 공간의 안정성과 차량의 역동적인 경험을 더한다.
제네시스 엑스 스피디움 쿠페 내장 디자인. /사진=현대차
제네시스 엑스 스피디움 쿠페 내장 디자인. /사진=현대차
제네시스 디자인 특징 중 하나인 '파라볼릭 라인'은 후드에서 시작해 후면부 끝까지 이어지며 클래식카를 연상케 하는 원만한 곡선을 만들며 우아함을 연출한다. 후면부에서는 볼록하고 오목한 표면이 대비를 이루며 시각적 긴장감을 만드는 동시에 균형감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상단에 위치한 브이(V) 자 모양의 브레이크등은 이 타원 형태의 트렁크와 대비를 이루며 제네시스 특유의 강렬한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