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항공사 안전점검을 추진한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국제선 출국장. /사진=뉴시스
20일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 입국방역에 대한 규제가 지난 1일부터 해제되면서 항공교통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 11개 항공사의 자체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점검을 추진한다.
현재 국내 항공사의 국제선 운항편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 동안 급감했지만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4년(2019~2022년) 9월 기준 국제선 운항편은 ▲2019년 2만8500편 ▲2020년 5999편 ▲2021년 5646편 ▲2022년 1만197편이다.
국토부는 국제선 운항회복에 따른 항공안전 강화를 위해 항공사별 자체 안전관리 실태 점검(국적사 11개 항공사 대상)을 12월까지 항공사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3~4일 동안 진행할 예정이다.
점검은 항공사의 안전관리(SMS) 매뉴얼 이행 및 준수여부를 총 5개 분야 78개 평가문항에 따라 진행한다.
국토부 항공정책실장과 각 항공사 최고경영자(CEO)와의 면담을 통해 앞으로의 안전관리 계획을 논의하고 안전문화 정착 및 투자 격려 등에도 나선다. 면담은 12월쯤 진행될 예정이다.
하동수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오랫동안 고대한 해외여행의 문이 열린 만큼 국민들이 믿고 탈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항공사가 될 수 있도록 안전관리를 세심하게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