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한 갑씩 매일 20년 동안 흡연한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약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31일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동원 이용제 가정의학과 교수·김애희 강사는 '흡연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최근 미국 임상 내분비학회 저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흡연과 대사증후군 발병의 연관성과 위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2001~2014년 40~69세 한국 남성 3151명을 대상으로 하루 흡연량과 평생 흡연량으로 세분화해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도를 조사했다. 하루 흡연량은 하루에 피우는 담배 개비 수, 평생 흡연량은 하루 흡연 개비 수와 총 흡연 년 수를 곱한 갑년으로 계산했다.
하루 흡연량인 개비를 기준으로 할 때 0~9개비 흡연자는 1.50배, 10~19개비 흡연자는 1.66배, 20개비 이상의 흡연자는 1.75배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했다.
평생 흡연량인 갑년을 기준으로 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20갑년 미만 흡연자는 1.63배, 20갑년 이상의 흡연자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1.67배 증가했다. 즉 하루에 1갑씩 20년 동안 흡연한 사람은 비흡연자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이 약 1.7배 정도 높아진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금연자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하루 흡연량인 개비를 기준 금연자는 비흡연자와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비슷했다. 이는 금연자도 대사증후군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교수는 "흡연이 흔히 알려져 있는 폐 질환, 심혈관질환과 각종 암의 위험인자이면서도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한 연구"이며 "흡연이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과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흡연 경험이 있다 하더라도 금연을 하게 되면 발병 위험률이 비흡연자와 유사할 정도로 현저히 감소해 금연을 강력히 권장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