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1~6월 착공 실적이 작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다고 밝혔다. 인허가와 착공, 분양 지표 모두가 하락장에 진입했는데, 이 같은 상황이 장기전으로 이어질 경우 2~3년 후 주택 공급 부족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사진=뉴시스
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 착공 실적이 1년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주택 공급 지표는 모두 하락 곡선을 그렸다.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7.2% 줄었으며 아파트 외 주택의 낙폭이 컸다. 수도권은 7만229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지방은 11만6916가구를 기록하며 28.5%만큼 각각 줄었다. 아파트(16만3856가구) 인허가가 21.3% 감소했을 때 아파트 외 주택(2만5357가구)는 50.8% 내렸다.
같은 기간 주택 착공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9% 빠진 9만2490가구를 기록했다. 수도권(4만8506가구)와 지방(4만3984가구)의 감소 비율은 51.9%와 49.8%로 비슷했다. 아파트는 6만9361가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50.4%, 아파트 외 주택은 2만3129가구로 52.5% 감소했다.
지난 1~5월까지 분양(승인)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43.0% 줄었다. ▲수도권(3만6644가구) -34.4% ▲지방(2만9803가구) -50.9%로 집계됐으며 유형별로는 ▲일반분양 -46.5% ▲임대주택 -65.5% ▲조합원분 0.5%로 나타났다.
착공 또한 1년 전의 절반 수준에 머무르며 감소세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선행지표인 인허가보다 착공이 지난해 1월 먼저 하락장에 진입했고 그 뒤로 1년 반 동안 감소 흐름이 이어졌다. 분양(승인)실적은 착공보다 2달 늦은 지난해 3월부터 계속 줄고 있고 인허가는 착공과 1년여의 차이를 두고 지난해 12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분양(-43.0%)과 착공(-50.9%)의 감소폭이 인허가(-27.2%) 감소폭을 크게 상회하는 상황이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인허가를 받고도 미분양 우려와 공사비 상승의 영향으로 착공·분양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업장이 많은 것으로 해석되며 공급 시차 장기화는 추가 비용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며 "지난 3월 이후 서울 등 우위 사업장의 청약경쟁률이 상승하고 있으나 물량 감소세는 지속됐는데, 이 같은 전반적 주택공급 감소는 2~3년의 시차를 두고 주택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말했다.
지난 1~5월 기준 대구와 세종의 착공 실적 변동률이 -95.1%와 -94.2%로 드러나며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인천(-71.4%)과 서울(-62.3%)의 착공이 더디게 진행됐으며 경기는 32.0% 빠졌다. 그 밖의 지역에선 울산(-80.0%) 경북(-74.1%) 경남(-73.0%) 전남(-62.5%) 충남(-54.0%) 강원(-45.1%) 제주(-40.5%) 광주(-31.0%) 충북(-22.7%) 전북(-15.6%) 등으로 나타났다.
부산(66.5%)과 대전(8.1%)은 착공 실적이 증가했다. 착공 상황은 초기분양률과 연관성이 높다. 주택토지보증공사(HUG)의 올해 1분기 초기분양률은 부산과 대전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이 60%보다 아래에 머무르는 동안 대구는 1.4%, 울산은 3.8%였고 세종은 아예 분양이 없었다.
같은 기간 지방은 아파트 착공 감소폭이 컸지만 수도권은 아파트 외 착공이 더 많이 줄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다세대(-66.6%) 연립(-65.7%) 아파트(-46.4%) 단독(-41.5%) 순이다. 아파트는 지방(-60.0%)에서 가장 덜 착공됐으며 수도권(-43.9%)과 기타 광역시(-29.2%)가 뒤를 이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수도권(-59.9%) 기타광역시(-50.3%) 지방(-40.5%)으로 연결됐다.
허 연구위원은 "사회적 이슈가 된 전세 사기가 수도권 아파트 외에서 다수 발생함에 따른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은 규모가 작을수록 감소폭이 컸지만 지방은 광역시와 기타지방의 상황이 달랐다"고 설명했다.
올해 1~5월 수도권은 소형(전용면적 40㎡ 이하)의 주택의 착공 비율이 낮았고 대형(135㎡ 초과)이 가장 낮았지만 광역시는 반대의 결과나 도출됐다. 주택 재고 물량의 차이와 함께 침체기 주택 규모 수요가 지역별로 차별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