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민간 경호 사업을 준비 중이다. 사진은 지난 7월28일 오전 법원의 접근금지 명령을 어기고 옛 연인을 찾아가 흉기로 살해한 30대 스토킹범이 검찰 송치를 위해 인천 논현경찰서를 나서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서울시가 스토킹 피해 고위험군을 위한 민간 경호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업체 선정작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스토킹 피해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민간 경호 사업에 나섰고 현재 서비스 업체를 선정 중이다. 경찰 등 공권력만으로는 현실적으로 모든 스토킹 피해자에 대한 보호가 어렵다는 판단을 내려 이 같은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9월 발생한 '신당역 살인사건'에 이어 최근에는 인천에서 30대 남성 스토킹범이 전 애인을 살해하는 등 스토킹 범죄가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경찰청도 자체 인력만으로는 보호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지난 6월부터 수도권에서 스토킹 범죄 피해자에게 민간 경호를 제공 중이다.


경찰청이 보다 넓은 범위의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면 서울시는 고위험군에 초점을 맞췄다. 서울시 관계자는 "경찰과 협의해 최대한 중복없이 많은 피해자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현재 피해자 약 30~40명에 대한 경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다만 사업 규모는 추후 바뀔 수 있다.

경호원은 피해자 1명당 최소 2인 이상을 배치할 계획이다. 하루 경호 시간은 10시간이 원칙이지만 피해자의 요청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경호 기간도 피해자 1명당 7일을 원칙으로 했지만 상황에 따라 더 긴 시간 경호도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경호 업체는 긴급 상황에 대비해 상시 '비상 대기조'를 운영하고 요청이 있을 경우엔 12시간 이내에 피해자 곁에 경호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시는 경호 업체를 선정하는 대로 실제 서비스 제공에 나설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피해자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관리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