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고려거란전쟁'의 원작 소설을 쓴 길승수 작가가 23일 "웃기지도 않는다"며 KBS를 비판했다. 반면 드라마의 작가와 연출은 "원작과 다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고려거란전쟁 포스터. /사진=KBS 제공
길승수 작가는 23일, KBS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 측이 최근 불거진 역사 왜곡 논란과 산으로 가는 전개에 대해 우회적으로 해명하는 듯한 보도를 접했다며 "웃기지도 않는다"는 글을 적었다.
길 작가는 "먼저 내부적인 진행 상황을 공개했으니, 저도 이제는 부담 없이 공개해도 되겠다"며 "제가 2022년 6월 처음 참여했을 때, 확실히 제 소설과 다른 방향성이 있더라. 그 방향성은, '천추태후가 메인 빌런이 되어서 현종과 대립하며 거란의 침공도 불러들이는 스토리"였다고 주장했다.
길 작가는 "내가 화들짝 놀라서 전작 KBS 드라마 '천추태후'도 있는데, 그런 역사 왜곡의 방향으로 가면 '조선구마사' 사태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천추태후는 포기됐는데 결국 그 이야기가 원정왕후를 통해서 어느 정도 살아남았다"라고 비판했다.
최근 '고려거란전쟁'은 현종(김동준 분)의 설정에 대한 아쉬움 등이 언급되면서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또한 길 작가도 "18화에 묘사된 현종의 낙마는 원작 내용 중에 없다"며 "현종은 관용과 결단력을 같이 가지고 있었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이에 시청자들의 원성이 쏟아지자 '고려거란전쟁' 측은 드라마 준비 과정을 공개했다. '고려거란전쟁' 측에 따르면 전우성 감독은 현종을 주인공으로 한 거란과의 10년 전쟁을 드라마화하겠다는 간략한 기획안을 작성했고, 개발에 착수했다. 전 감독은 "드라마 원작 계약은 매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원작의 설정, 줄거리를 그대로 따르는 리메이크 형태부터 원작의 아이디어를 활용하기 위한 계약까지 다양하다"며 "'고려거란전쟁' 원작 계약의 경우는 리메이크나 일부분 각색하는 형태의 계약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전 PD는 "길승수 작가와 원작 및 자문 계약을 맺었고 극 중 일부 전투 장면을 잘 활용했다. 그러나 길승수 작가는 대본 집필이 시작되는 시점에 자신의 소설과 '스토리 텔링의 방향성이 다르다'는 이유로 고증과 관련된 자문을 거절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저는 새로운 자문자를 선정하여 꼼꼼한 고증 작업을 거쳐 집필 및 제작은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길승수 작가가 저와 제작진이 자신의 자문을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기초적인 고증도 없이 제작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에 당혹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전우성 PD는 길승수 작가가 자신만이 이 분야의 전문가인 것처럼 말하는 것에도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강추위속에서, 오늘도 배우들과 제작진들은 최선을 다해 방송제작에 임하고 있다. 이런 논란이 불거진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 전하며, 앞으로도 시청자들께서 보내주신 관심과 사랑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