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손해보험이 이달 8일 성과급과 격려금을 포함해 월 상여금의 650%를 직원들에게 지급한다. 사진은 KB손해보험 강남 사옥./사진=KB손해보험
이날(5일) KB손보 노사는 서울 강남 역삼동 본사에서 2023 임금·단체협상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지난해 5월 KB손보 노사가 2023 임금·단체협상을 위한 상견례를 가진지 10개월 만이다. 잠정합의안에는 4급 이상 직원들은 기본급의 5.0%를, 5·6급(현장총무, 매니저)·직무급제(전문직군)는 6.0%를 각각 인상하고 성과급은 월상여금의 450%(연봉의 18.5%)를 제공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KB손보 노사는 성과급 외 격려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부분에도 합의했다. 성과급 외 격려금으로는 ▲ 2024년 목표 달성 격려금 360만원(월상여금의 100% 수준) ▲ 복지 포인트 180만포인트(월상여금의 50% 수준) ▲우리사주 180만원(월상여금의 50% 수준) 등 월상여금의 200% 수준을 추가로 지급한다.
보험사들의 성과급 규모는 올해 1분기 금융권 최대 이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융당국이 금융권에 상생금융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은 성과급 규모를 축소했다. 금융사들이 이자장사로 돈 잔치를 벌인다는 질타 속에서 보험사들이 역대급 성과급을 지급할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미 성과급을 지급한 보험사 외 성과급 지급을 앞두고 있는 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이 미래손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강조하고 있는 데다 높은 성과급 책정과 고배당을 할 경우 자칫 여론이 악화될까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 1월 삼성화재는 지난해 연봉의 44~50%, 삼성생명은 25~29%를, 2월엔 메리츠화재가 지난해 연봉의 60%를, 현대해상은 지난해 연봉의 18%를 지급한 바 있다. 이달엔 DB손보가 성과급을 지급할 예정이다.
KB손보 관계자는 "노사는 녹록치 않은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작은 부분 하나까지 치열한 고민을 거듭한 끝에 최선의 안을 도출해 합의에 이르렀다"며 "임금협상 이외에도 직원들이 더 나은 근무환경에서 근무하도록 제도개선, 복리후생, 현장처우 개선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