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공중보건의를 서울 등으로 파견하기로 결정하면서 지역 의료 공백에 따른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에 위치한 대학병원 모습이며 기사와 무관. /사진=임한별 기자
9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 비상진료 지원 공중보건의사 파견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지역 의료계에 근무하는 공중보건의에게 발송했다.
파견 기간은 오는 11일부터 4주 동안 진행되며 총 138명(전문의 46명, 일반의 92명)이 서울 대형병원에 파견돼 필수의료 진료과에 배치될 예정이다.
공문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인해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전국 20개 의료기관에 공중보건의의 파견지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각 시도에서는 1~2년 차를 중심으로 파견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파견된 공중보건의에 대한 기본 급여는 현행대로 지급하며 특별활동지원비와 일비 등의 수당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인건비를 배정할 예정이다.
강원·경기·경남·경북·전남·전북·충남·충북 등의 공중보건의들이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인 빅5 상급종합병원에 파견된다.
국립중앙의료관과 울산대병원·부산대병원·전북대병원·전남대병원·인하대병원·국립암센터 등에도 배치된다.
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지역 의료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서 취약지에서 복무 중인 전국의 공중보건의사를 서울의 대형병원 위주로 차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의 보건지소들은 이미 의대생의 현역 입대 증가에 따른 공중보건의사 부족으로 한 명이 두 세 곳의 보건지소를 순환 근무하는 여건인데 이러한 지역 보건지소의 의사들 공백으로 인한 지역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파견 근무 기간 또한 총선 직전까지로 총선 전 의료대란에 따른 여론 달래기용이 아닌지 의심스럽고 재원도 지자체 부담이라 지역의 많은 부담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