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교통비 절감을 위한 'K-패스' 사업이 시작된다./그래픽=이미지투데이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K-패스' 신청·발급이 오늘부터 시작된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대상)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환급해주는 교통카드로 오는 5월1일 본격 시행된다. 국내 카드사와의 협업으로 출시되며 각 카드사는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사진=신한카드
이외에 배달앱(배달의민족, 요기요), 편의점(GS25, CU), 커피전문점(스타벅스, 메가MGC커피, 매머드커피), 이동통신요금, 올리브영,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병원·약국업종 등 일상 생활 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영역에서 5% 할인도 받을 수 있다.
대중교통 및 간편결제, 생활 할인 서비스는 월간 통합 할인 한도 내에서 적용되며, 전월 30만원 이상 60만원 미만 이용고객은 7000원, 60만원 이상 이용 고객은 1만5000원 한도 내에서 할인이 가능하다.
체크카드로도 발급된다.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10% 할인 서비스를 담고 있으며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5000원까지 할인이 가능하다. 이외 간편결제 및 일상 생활에서 2% 할인 서비스를 최대 5000원 한도 내에서 할인해준다.
사진=KB국민카드
체크카드는 전월 20만원 이상 이용 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10%(월 최대 2000점) ▲생활서비스 영역(이동통신, 커피, 약국, 편의점, 영화, 패스트푸드점) 1%(월 최대 4000점) 포인트리 적립 혜택이 제공되며 ▲KB페이로 생활서비스 할인 영역에서 이용 시 추가 1%(월 최대 4000점) 적립할 수 있다.
NH농협카드도 'NH농협 K-패스 카드'를 출시했다. 신용카드의 경우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2만원의 모빌리티 서비스 청구할인을 제공한다. 모빌리티 서비스에는 ▲버스·지하철·택시·철도 ▲렌터카·카쉐어링 ▲전기차 충전 영역이 포함된다.
체크카드는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5000원의 모빌리티 서비스 캐시백, 최대 3000원의 이동통신요금 5% 캐시백, 최대 2000원의 커피전문점 5% 캐시백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비씨카드는 '비씨바로 K-패스 카드'를 통해 기존 혜택과 더불어 ▲대중교통 15% ▲주요 OTT·스트리밍 서비스 15% ▲편의점 5% ▲이동통신요금 5% ▲해외 가맹점 3% 결제일 할인을 제공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