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범사업 중인 기후동행카드의 전국확대에 대한 민원에 당장은 확답이 어렵다고 밝혔다. 사진은 2월7일 서울 시내 한 거리에 게시된 기후동행카드 홍보물 /사진=뉴스1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대중교통 이용자의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절감을 목표로한 친환경 교통정책이다.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버스)과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이용범위는 서울과 일부 경기 지역으로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 승하차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서울시가 시범사업중인 기후교통카느는 1회 요금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버스)과 따릉이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사진=캡처(서울특별시)
민원인의 제안이 시행된다면 인천시에서만 이용시 6만3000원으로 구매하고 인천시에서 서울시로 이용시 7만5000원의 금액으로 구매하는 등 가격에 차등을 두고 이를 전국단위로 확대하자는 제안이다.
이어 그는 "서울만 사용하는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경기도로 넘어갈 때는 하차 후 다시 승차해야 한다는 불편 사항이 있다"며 경기도까지의 확대 실시를 주장했다.
이에 서울시는 "내부 검토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고 답했다. 서울시 교통정책과는 "귀하께서 건의해주신 이용범위와 이용가능 교통수단 확대 여부는 서울시 내부 검토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관련 지자체, 운송기관, 운송기관, 국토부 등 관계기관 간 합의가 선행돼야 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건의해주신 다른 교통정책과의 통합과 요금 다양화 여부는 더욱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므로 현재로서 확답을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바란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이용시민의 불편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초단체·운송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귀하의 제안처럼 보다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누리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