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사진)의 재선이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사진=로이터
24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 대선 후보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지지를 선언했다. 고령 리스크 심화 등의 이유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등 민주당 주요 인사들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등을 돌린 영향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피격 사건에서 기적적으로 생존하며 여론전이 불리해진 것도 주효했단 평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 사퇴 직후 시행된 여론조사에서 해리스 부통령과 접전을 벌였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가 지난 21~22일 등록 유권자 4001명을 조사한 결과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은 각각 47%, 45%로 나타났다. 오차범위(±2%포인트)를 고려하면 우세를 점치기 어렵다.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업체 입소스가 공동으로 등록 유권자 10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42%)과 해리스 부통령(44%)의 지지율이 오차범위(±3%포인트) 안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를 속단하긴 이르지만 정권 교체가 이뤄져도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했던 제약·바이오 정책은 이어질 것이란 게 업계 시각이다. 미국 생물보안법이 대표 사례다. 바이든 정권에서 발의된 해당 법은 2032년부터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 기업과 거래하면 안 된다는 내용이 골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기차·배터리 등 핵심 산업군에서 중국을 배제하고자 하는 점을 고려하면 생물보안법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
트럼프 공약 '아젠다 47'… 中 견제 '여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아젠다 47에서 미국 내 필수의약품 생산을 강조했지만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도 있다. 아젠다 47에서 언급된 필수의약품은 특허가 만료됐거나 개발된 지 오래된 의약품들이 주로 포함돼 있다. 수익성이 낮아 제약사들이 적극적으로 생산하지 않은 탓에 공급 부족이 발생해 문제가 된 것. 바이오 의약품과 항체의약품을 주로 위탁생산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업체들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제약·바이오 산업 변화 속도가 느릴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의약품 생산처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밸리데이션(검증 및 문서화) 등의 공정 절차와 함께 규제기관 실사·승인 등의 절차가 필요해서다. 특허 등의 이유로 특정 의약품을 다른 품목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생물보안법 시행 시기가 2032년으로 설정된 것도 이 이유에서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리포트를 통해 "갑작스러운 생물보안법 적용은 미국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의약품) 생산 병목은 환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산업계 의견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